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평범함이 힘!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어떤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A라는 이론을 사용했다면, 완전히 다른 B 이론이나 정의를 사용해 보는 거지요. 이를 수학 공부에 대입하면, 질문에 대한 답이 막혔을 때 질문을 바꿔 보는 겁니다. 저는 공부할 때 질문만큼 중요한 건 없다고 생각해요. 질문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답이 나올 수도 있고, ... ...
- [핫이슈] 이런 가위바위보 봤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원하는 TV 프로그램 중 어떤 것을 볼지 다투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RPSLS 게임을 처음 사용했거든요. 셸던은 이후 뭔가 정할 일이 있을 때마다 가위바위보보다 비길 확률이 적은 RPSLS 게임을 했습니다. 그러나 ‘스타트렉’을 좋아하는 주인공들이 스팍 동작만 내려고 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오히려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한파 “생존템” 온열 마우스패드 만들기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연결돼있어 전원을 연결하면 금세 따뜻해지는 마우스패드죠. 그런데 온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이 전기장판과는 살짝 다릅니다. 전기장판 안에는 열선이 들어있는 반면, 온열 마우스패드엔 탄소계 면상발열체가 들어갑니다. 열선과 탄소계 면상발열체는 모두 줄 발열(Joule heating)을 ... ...
-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 신진 작가 김상현 씨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안에 어떤 요소를 넣을지 정리한다. 그리고 오브제(의미가 부여된 상징)를 어떻게 사용해 이야기를 담을지 구상한다. 실제 시계의 부품을 구상하는 건 그 다음이다. 부품의 소재, 색감, 질감을 구상한다. 마지막으로 시계의 심장 역할을 하는 무브먼트를 고심하며 디자인에 어울리는 기능을 채택한다 ... ...
- [이슈1] 렛 잇고~♬ 겨울 스포츠의 왕국으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스키는 점프와 회전을 활용한 여러 종목으로 나뉘어요. 회전 수가 적을수록 종목에서 사용하는 스키의 길이가길어져요. 스키의 길이가 길면 방향을 쉽게 바꾸기는 어려워도, 바닥에 닿는 면이 더 넓어서 안정적으로 경기를 할 수 있거든요. 반면 스키의 길이가 짧으면 더욱 정밀하고 빠른 회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광고가 나를 쫓아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 Mission자주 사용하는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 수신 설정’을 할 때 ‘허용’과 ‘차단’ 중 무엇을 선택하나요? 여러분이 선택한 이유를 알려주세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낮아지며 서서히 기체가 되죠. 이때 냉매는 냉장고 속 열을 가져가 기체가 되기 위해 사용하고, 냉장고는 냉매에게 열을 빼앗겨 차가운 상태가 됩니다.냉장고를 한 바퀴 돌며, 냉장고 속 열을 빼앗아 기체가 된 냉매는 출발점이었던 압축기로 되돌아옵니다. 냉장고는 이 과정을 반복하며 차갑게 ...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있지만, 그 아이디어 중 어느 것이 뛰어난지 스스로 파악하기는 어려워요. 또 방정식을 사용하는 대수학은 쉽게 익히지만, 다양한 도형을 그려야 하는 기하학 분야는 습득하기 쉽지 않습니다. Q 컴퓨터가 수학자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아직 어렵다고 봅니다! 많은 인공지능 연구가 이를 실현하기 ... ...
- [역설의 나라 앨리스] 제2장. 모순 웅덩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특정 수학 체계가 스스로 모순적이지 않음을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수학 체계를 포함해 모든 수학 체계는 모순의 가능성을 항상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이 앞서 제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증명됐지만, 반례를 발견할 확률이 있다고 말한 이유입니다. ‘유니콘은 ... ...
- [과학뉴스] 기후변화, 작고 맛없는 물고기 밥상에 올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연안에서 잡히는 앤초비는 영양가가 높아 세계 여러 나라의 요리에 사용된다. 하지만 바닷물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앞으로 밥상에서 보기 힘들어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키엘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온도 상승이 어종 구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