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최첨단 천문학 연구에 동참하고 싶은 분들은 지금 바로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세요! 인공지능까지 접목한 최첨단 시민과학프로젝트그래비티 스파이의 특징은 인공지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시민 천문학자와 인공지능 이 협업한다는 점입니다. 우선 시민 천문학자는 수많은 관측 데이터를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환자는 다른 사람과 만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하고 회피한다”며 “항불안제나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의 약물치료를 하는데, 환자들이 약을 먹는 행위 자체를 불안해하거나 힘들게 약물치료를 시작해도 항불안제 약물을 남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VR 치료 프로그램은 환자에게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지구에 도착했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월 28일자에는 이들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세 편이 나란히 실렸다. 윌리엄 매티넌 미국 워싱턴대 지구및행성과학과 교수팀은 아로코스의 표면을 분석한 결과 타원형의 두 미행성이 매우 부드럽고 천천히 조우해 아로코스가 형성됐다고 주장했다. doi: 10.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정육각기둥에서 기둥이 되는 변을 일정한 각도로 잘라 위로 올려붙인 구조입니다. 세 개의 마름모가 만나 각뿔을 만들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뾰족한 지붕을 가진 정육각기둥인 셈이죠. 이런 구조로 만든 건 최소한의 재료를 이용해 가능한 큰 부피의 방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저희 나름의 ... ...
- [에디터노트]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위치한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한 건물 안. 한국 나이로 열두세 살쯤 됐을까. 한 무리의 미국 학생들이 손을 들고 질문을 쏟아내고 있었다. JPL이 운영하는 무료 견학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이었다. 그들이 유리창 너머로 보고 있는 건 올해 7월 화성으로 떠나는 탐사선 ‘마스(Mars) ...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 루이스 니런버그 96세 나이로 타계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니런버그는 편미분방정식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만 90세가 되던 2015년에 아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아벨상은 2003년 노르웨이학술원이 유명한 노르웨이의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만든 권위있는 상으로,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도 ... ...
- [교육뉴스] 어린이가 충분히 자야하는 이유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일쑤인데요, 최근 지안펑 영국 워릭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10~13세 어린이가 수면 시간이 짧으면 소아 우울증과 충동적 행동, 심지어 학습능력 저하까지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사용해 10~13세 어린이 1만 1067명의 뇌를 촬영한 ... ...
- [퍼즐라이프] 퍼즐러가 사는 법 … 퍼즐의 MSG, 경우의 수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모임’입니다. 저희들의 퍼즐 이야기를 통해 신기한 퍼즐과 그 속에 숨은 수학을 즐겨보세요! 용어정리* 로버츠경 추모 워크숍 : 퇴역 군인 후원에 앞장섰던 영국군 최고 장교를 지낸 프레더릭 로버츠 경을 추모하는 행사로, 퇴역 군인이 만든 수공예품이나 장난감을 전시하고 팔았다 ... ...
- 코로나 바이러스 Corona virus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코로나바이러스의 반격이 시작됐다.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는 전 세계 8096명을 감염시켜 774명의 사망자를 냈고,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는 2494명을 감염시켜 858명이 죽었다. 이번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다. 빠른 복제와 재빠른 숙주 이동이 코로나바이러스의 무기다. ... ...
- “인공지능은 이미 여러분 옆에 와 있습니다”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김 교수는 “TSV 기술로 만든 메모리 반도체를 고대역폭 메모리(HBM)이라고 하는데, 전 세계 HBM과 관련된 연구 결과는 대부분 우리 연구실에서 나왔다”며 “최근 우리가 개발한 HBM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컴퓨터와 USB가 주고받는 것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고 말했다. 이런 HBM은 수많은 데이터 학습이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