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한반도 해양쓰레기는 북태평양 환류대로 간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세계 바다의 거대한 순환시스템을 의미하는 환류대는 지구의 자전과 바람 등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해안가나 선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해류의 흐름에 따라 태평양(2곳)과 대서양(2곳), 인도양(1곳) 등에 위치한 5대 환류대의 중심부로 흘러갑니다. 각 환류대의 중심이 쓰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지 진로를 정하지 못하고 있나요?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여기 37살이 돼서야 진로를 정한 사람이 있습니다. 국내 최초의 천체사진가인 권오철 작가님은 세계를 돌아다니며 해와 달, 별 등을 품은 하늘을 관측해 사진으로 남깁니다. 하지만 이 직 ...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난 1월 11일, 기자는 지구사랑탐험대의 대장으로 계시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생명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인지생태연구실을 찾아갔어요. 이곳에 계신 구교성 연구원과 연구팀이 친환경적으로 외래종 거북을 잡을 수 있는 기발한 장비를 만들었다는 소문을 들었거든요. 과연 어떻게 생긴 장비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제트기류, 체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안녕~! 오늘도 과학마녀 일리가 왔어! LA로 떠난 푸푸를 빨리 만나고 싶어서 제트기류에 올라탔지. 근데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쉽지 않았어. 왜 그런 거냐고? 제트기류(Jet stream) 지구의 약 10km 상공에선 서에서 동으로 초속 25m 이상의 강풍이 불어요. 지상에서 이 속도로 바람이 불면 나무가 뿌리 ...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성과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은 지구에서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하늘에서 수성을 발견한 적이 있나요? 수성은 관측하기 까다로운 행성이라서 본 사람이 적을 거예요. 수성을 보기 힘든 이유는 수성의 공전반지름 때문입니다. 태양계 첫 번째 행성인 수성의 공전반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19년 9월 20일, 노르웨이 북부 도시 트롬쇠(Tromsø)의 항구 부두에서는 밴드의 연주가 흐르는 가운데 사람들이 초밥을 먹고 작별 인사를 나누는 등 시끌벅적한 시간이 이어졌다. 반면 부두에 정박한 쇄빙선 폴라스턴호에는 이전에 경험해본 적 없는 분위기가 감돌았다. 60여 명의 과학자와 40여 명의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살고 싶은 외계행성 조건을 정했다면 다음 순서는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외계행성을 찾아서 내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겁니다. 지구에서 최소 몇 광년은 떨어져 있을텐데 가능한 일이냐고요? 걱정 마세요. 저희 부동산은 지구의 수많은 천문학자와 협력하고 우주관측위성 및 망원경을 활용해 행 ...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편집자 주디라이브러리에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제인터뷰 한국어 번역본을 함께 게재합니다.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 깨끗하고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월 5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에서 만난 이먼 라히미페트루디 UST 학생연구원에게서는 고독한 ... ...
- [특집] 막아라! 여섯 번째 대멸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안녕? 난 전 세계에서 약 20마리밖에 남지 않은 바키타 돌고래야. 공룡 저승사자가 나랑 꿀벌을 데려가려고 해. 우리가 멸종위기에 처했다면서 말야. 하지만 이대로 멸종될 수 없어! 나를 도와주지 않을래? 우리뿐 아니라 많은 생물 종이 사라지고 있어. 과학자들은 여섯 번째 대멸종이 시작됐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행히 아직 희망이 있대. 과학자, 개인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협력하기 시작했거든! 여섯 번째 대멸종, 힘을 모아 막아보자! 급진적인 과학으로 지구를 되돌리자!지난해 2월 미국의 비영리 연구단체 ‘북극 얼음 프로젝트’는 유리 가루를 북극의 해빙 위에 뿌리면 태양 광선을 반사해 해빙이 녹는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