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넣어보자.’”호기롭게 도전했지만, 산 넘어 산이었다. 인쇄 기술만큼은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베테랑 디자이너들이었지만, IT기술에는 문외한이었다. “처음에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격자로 ‘기스’를 내볼까?’라고도 생각했어요. 정말 농담 안하고요.” 오 연구원이 쑥스러운 듯 ‘허허허’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커지면서 한 조직이 여러 조직으로 나눠진다. 반대로 α값이 작아지면 조직의 규모는 작아지지만 서로 똘똘 뭉치는 효과가 있어 협상을 시도할 수도 있다. 즉 이 방정식은 테러의 가능성을 예측해 줄 뿐만 아니라 α값을 통해 어떤 전략을 써야할지도 제시해 준다.폭탄 테러 날짜를 알려 주는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그는 1971년 학술지 ‘브레인 리서치’에 이런 이론을 발표했지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실험에 오류가 있다, 쥐의 후각이 위치 파악에 얼마나 중요한지 간과했다고 비아냥거리는 이도 있었다. 당시에는 뇌세포의 전기신호로 동물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이 무척 생소했다. 그러나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진화를 통해 소멸될 수도 있다. 다만 아직 Y 염색체에 있는 모든 유전자가 밝혀지지 않았다. 염색체에 숨어있는 부분에서 정자의 형태, 난자의 막을 뚫고 들어가는 정자 머리 부분의 특성, 그리고 정자 꼬리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공수정이 아닌 정상적인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는데, 단백질이 분열을 하며 세포의 수가 늘어나 사람의 몸과 장기기관들이 만들어지지. 이렇게 단백질이 분열할 때 물이 꼭 필요하단다.사람이 물을 마시면 30초 안엔 혈액, 1분 안에 뇌까지 이동해. 40분이면 몸 전체를 한 바퀴 돌며 온 몸 구석구석 가지 않는 곳이 없지. 그만큼 물은 몸의 대부분의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4.7km라는 가공할 속도로 움직이고 있지만, 주변에 아무 것도 없으니 속도감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고요하다. 별빛만이 변함없이 나와 함께 하고 있다. 저 멀리에서 사람들이 벌이는 소란스러운 소동은 들리지 않는다.뉴호라이즌 호가 해왕성 궤도를 막 넘었다는 소식을 나는 아주 늦게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채롭다. 솔직히 이런 투표는 재미는 있지만 별 의미는 없다. 아무도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지 않는 우주도 존재할 것이기 때문은 아니다. 과학에서 진리는 투표로 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도는 작은 행성에 불과하다. 태양은 아보가드로 수 보다 많은 별 중 하나일 뿐이다.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달라지는데, 공이 돌아가는 방향에서 흐르는 공기는 빨라지지만 반대편 공기는 느려지지요. 공은 공기가 빨리 흐르는 쪽으로 휘면서 날아간답니다. 공기가 느리게 흐르는 쪽보다 압력이 낮아 힘이 이동하기 때문이에요.자아, 간다~. 으랏찻차!와아, 골인~! 드디어 골이 들어갔어!얏호! 드리블을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특별히 경제성이 높은 것도 아니고(건설 비용이 많이 든다. 이 때문에 초고층건물을 지지하는 전문가들조차 “경제성을 고려하려면 초고층건물은 건물 수명을 일반 건물의 약 2.5배로 길게 잡아야 한다”고 말한다),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 인구도 정체 또는 감소 국면이기 때문에 딱히 긴박한 필요도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북반구로 후퇴한다는 설명이었다. 당시로서는 너 무 혁명적인 주장이라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구 전역에서 한 날 한 시에 모든 종이 창조됐다는 창조론이 훨씬 그럴듯하게 보 였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알고 있다. 어떤 주장이 옳았는지. 활 달한 신종헌터 후커가 발견한 식물 종의 분포는 전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