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해당하는 유전자를 200가지 넘게 찾았다. 따라서 이런 유전자가 변형된 복제 개를 만들면
질병
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는 데 쓸모가 많을 것이다.“마약탐지견 같은 서비스 분야에서도 복제개가 한 몫 할 것입니다. 이런 개 한 마리를 훈련시키는 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개를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물질 전달 문제를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일이다. 이 목표를 달성한 뒤에는
질병
연구에도 도전할 생각이다. 최근 중국과학원과 소주대 의대에서는 2006년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된 이 교수의 논문을 본 뒤 소주대로 초청해 공동연구를 제안하기도 했다.물론 그는 여전히 세계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교수의 인 실리코 단백질 창의연구단은 단백질 구조를 분석·예측하는 연구를 통해
질병
의 유발 원인을 알아내고, 이를 통해 신약개발을 가능케 하는 생명과학의 최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인 실리코 단백질 창의연구단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대규모 계산을 통해 단백질의 구조와 그 기능을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그런데 시냅스에 이상이 생길 때 치매나 언어장애, 자폐증, 강박증 등 각기 다른
질병
이 일어나는 이유는 뭘까. 김 단장은 “각 신경세포마다 발현된 단백질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나의 신경세포에는 최대 10만 개의 시냅스가 있다. 그런데 각 시냅스는 전부 구성성분이 다르다. 따라서 ... ...
[생물]항생제의 공격에 저항하는 세균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사망한 환자의 80%는 감염때문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항균성 의약품을 통해 많은
질병
을 통제한다. 첫 번째로 사용된 항균 의약품은 설파계 의약품이었다. 가장 간단한 설파계 의약품인 설파닐아미드는 분자 수준에서 작용이 알려진 첫번째 의약품이다. 설파닐아미드의 효과는 박테리아가 비슷한 두 ... ...
악 소리 나는 고통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불편을 없애기 위해 물리치료 같은 대증요법을 먼저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대증요법은
질병
의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증세만 완화시키는 치료법이다. 대증요법을 받은 뒤에는 치아가 잘 맞물리도록 만들기 위해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를 바꿔주는 수복치료나 치아의 배열을 가지런하게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핵심기술로 자리 잡으면서 바이오혁명을 이끌고 있다. 당뇨병을 비롯한 현대인의
질병
을 극복하는 데 복제기술이 없어서는 안 되고 마약탐지견이나 우량 한우같이 우수한 형질을 보존하는 데도 복제기술이 필수다.한 걸음 더 나아가 DNA분석기술과 복제기술을 접목해 매머드처럼 오래전에 멸종한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박종화 센터장도 SNP 해석을 두고 “(기존에 알려진
질병
과 관련된 SNP와) 일치하는 숫자가 크다고 병에 걸릴 확률이 꼭 높은 것은 아니다”라며 “해당 SNP를 갖고 있는 것과 이 SNP가 발현돼 병에 걸리는 일은 별개로 생각해 달라”고 당부했다.SNP의 정의SNP는 ‘Single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결과다. 실제로 비타민D가 뼈 건강을 유지하는 일 뿐 아니라 암이나 당뇨병 같은 다양한
질병
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최근 매일 한편씩 비타민D 논문이 나올 정도로 관련 연구도 급증하고 있다.미국같이 땅덩어리가 넓은 나라는 한 나라 안에서도 뉴욕 같은 북동부와 로스엔젤레스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일으킨다. 만약 단백질이 고유한 모양을 잃고 구조가 바뀌면 알츠하이머 병 같은
질병
에 걸린다. 이를 치료하려면 단백질이 어떻게 생겼으며 그 구조가 바뀌면서 기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야 한다.과학자들은 단백질 결정에 X선을 쪼여 나타난 회절무늬를 관찰하는 X선회절법이나, 단백질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