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호해야 할 우리나라 고유종 세모배매미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봐도 된다. 이 시기에 우는 다른 매미로는 풀매미가 있는데, 풀매미는 소요산매미만큼
찾기
쉽지 않다.아파트 단지나 국도변 산에서도 심심찮게 들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 곳에 살지는 않는다. 만약 6월인데도 동네에서 아무 매미 소리를 들을 수 없다면 교외로 나가 시골 야산 주변을 다녀보면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생물들은 다른 바다 밑에서도 살고 있을까? 이 생물들은 어디에서 기원하였을까? 해답을
찾기
위해 과학자들은 전 세계 바다 밑 다른 지역들로 심해탐사를 확장시켜나갔다. 이 같은 노력을 통해 열수생태계라는 큰 퍼즐이 한 조각씩 맞춰지고 있다. 태양 없이도 생존하는 화학합성생태계심해에서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학자들은 우주로 섬세한 탐사선을 보내 이 작은 차이를
찾기
로 했다. 1989년 우주 관측위성 하나가 발사됐다. ‘코비(COBE)’라고 부르는 위성이었다. 플랑크의 할아버지 위성인 코비는 이론으로 예측한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의 미세한 차이를 관측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속(속은 종의 상위 개념. 즉, 호모 사피엔스의 친척을 모두 일컬음)의 기원을 밝힐 화석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었습니다. 쉽게 말해 최초의 호모 속 화석을 찾는 일이었지요.당시에 발견된 고인류 화석으로는 300만 년 전 등장한 남아프리카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와 동아시아의 ... ...
우리는 즐거운 과학토론 촉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곳이 인터넷이나 학교 도서관으로 한정돼 있어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가 쉽지는 않았다. 전민선 학생은 “과학동아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원이었다”고 말했다. 앞서 이야기한 ‘원전가동 찬반 토론’도 과학동아 2011년 4월호에 실린 ‘일본 ... ...
INTRO. 상상과 현실, 그 경계에 있는 영화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누가 생각을 했겠는가. 일주일 후에 있을 컨셉 회의를 앞두고 F씨는 또 다시 참고 자료를
찾기
위해 도서관으로 향했다.음향사운드 디자이너 G씨는 소리 하나에도 온갖 공을 들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얼마 전에는 소리 하나 녹음하겠다고 몽골 사막을 다녀왔다. 아무것도 없는 허허 벌판에서 나는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 개미를 쫓아가라고?하하, 그루그. 걱정 말고 개미를 쫓아가면 돼요. 개미들이 최단거리
찾기
선수거든요. 개미들은 수시로 먹이를 찾아 길을 나서는데, 절대 길을 잃어버리지 않아요. 보통 개미집이 한 점에서 시작해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것은 물론, 그 전체 길이가 작게는 수십m에서 크게는 ... ...
PART 2. Sixth Sense Mobil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중에 보게 됐다면 어떤 건축물인지 궁금하다. 그런데 건축물 이름을 모르면 인터넷으로
찾기
가 어려워진다.구글 이미지 검색 ‘구글 고글스’는 사진이나 그림 속의 정보를 이용해 유사한 이미지나 이미지의 제목, 인물이나 모형의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다. 사진을 찍고 어떤 물체인지 찾아서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다인자 가설이 나타났다. 하나의 물질이 아니므로 물질의 순수분리에 기초한 플로리겐
찾기
는 애초에 불가능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플로리겐이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 현재의 분리 방법으로는 추출 과정에서 깨져 없어진다는 가설도 등장했다. 심지어 기상천외의 물질이거나 그 양이 너무 적어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것일까. 생활하는 데 필요한 물이 부족하지도 않은데 사막화된다고 할 수 있을까. 답을
찾기
위해서는 태양열이나 강우가 직접 닿는 지표면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살펴봐야 한다. 도시 사막화 현상은 지표면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서울시의 면적은 약 600km2. 이 중 비가 왔을 때 물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