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극복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폰 노이만이 1945년 처음으로 제안한 폰 노이만 구조는 입력되는 명령을 CPU가 처리하는 구조다. 명령을 담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고 쓰는 활동이 모두 메모리에 기반을 두고 이뤄진다는 특징이 있다.폰 노이만 구조는 현대적인 ... ...
- [과동프렌즈] 만유인력의 법칙 이해하려 뉴턴 인생사까지 들여다봤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접목해 연구하는 과학자를 꿈꾸고 있다. “4시간이 넘게 집중력을 잃지 않고 읽은 책은 처음이었어요. 동시에 제 꿈이 정해진 순간이었죠.”그는 AI를 이용한 약물재창출, 바이오 3D 프린팅 등 다양한 학문을 생명과학에 접목한 융합 분야에 관심이 많다. 50년간 풀리지 않은 생명과학 난제를 구글 ...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4일 디스커버리(DISCOVERY) 연구실에서 만났다. 리튬의 화학적 한계 뛰어넘어1990년대 초반 처음으로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는 30년 이상 배터리계의 ‘왕좌’를 차지하며 널리 쓰이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상용화된 어떤 배터리보다 전력을 많이 저장할 수 있고, 어느 정도 소형화도 가능하다. ... ...
- [특집] 혀끝에 닿는 달콤함~ 아이스크림 맛은 얼음 비율에 달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아이스크림 속에 있는 얼음이 녹았다가 다시 얼면서 서로 뭉치고 크기가 커져요. 처음에는 부드러운 크림 같았던 아이스크림도 얼음 결정의 크기가 커지면 단단한 식감을 갖게 됩니다. 크림류 아이스크림을 먹었는데 부드럽지 않다면 녹았다 다시 언 거예요 ... ...
- 송이송이 얼음송이, 눈 결정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공기 중에 있는 물 분자가 얼면서 서로 뭉치고 커져서 땅으로 떨어지는 거예요. 이때 맨 처음 얼음이 되는 물 분자의 구조가 육각형이기 때문에 눈 결정도 육각형을 띠게 됩니다. 온도와 습도에 따라 눈 결정의 모양이 조금씩 달라요. 복잡한 가지 모양의 육각형 결정은 영하 10°C~영하 20°C에서 ... ...
- [시사 과학] 식목일 앞으로 3월로 당겨질 수도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온난화로 나무 심기 좋은 시기가 빨라졌다! 식목일 날짜를 바꾸자는 제안은 이번에 처음 나온 것이 아닙니다. 정부는 이미 2004년 이후에만 식목일을 당겨야 한다는 의견을 3차례 넘게 검토했어요. 하지만 지금까지는 식목일 날짜를 바꾸지 않았지요.그 이유는 우선, 4월 5일이라는 날짜에 담긴 여러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탄소, 인공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줄임말인 AI로 부릅니다.인공지능이란 단어는 1956년 미국에서 열린 다트머 스 회의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됐습니다. 수학·과학 자들은 당시 새로운 개념이었던 ‘생각하는 능력을 갖 춘 기계’가 어떤 일을 하게 될지에 대해 토론했고, ‘인 공지능’이라고 부르기로 결정했어요.인공지능은 사람의 ... ...
- [수학뉴스] 수학 공부 중단하면 뇌 발달에 영향 준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영상으로 촬영하는 기술로 수소가 포함된 화학물질의 반응을 알아볼 때 쓰입니다. 처음 실험을 시작했을 때는 수학 공부를 계속한 학생과 도중에 중단한 학생 사이의 GABA 양이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후 수학 공부를 계속한 학생은 수학 공부를 중단한 학생보다 뇌 속의 GABA 양이 더 많은 것으로 ... ...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흑돌을 가진 사람이 오목판 중앙에 첫 수를 두면서 경기를 시작하는데요. 오목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렌주규칙은 이 유리함을 줄이기 위해 흑돌의 수(手)에 제한을 두는 것을 말합니다. 1989년부터 열리고 있는 오목 세계챔피언대회도 이 규칙에 따라 진행됩니다. 그럼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처음 몇 달은 실패와 실망의 연속이었다. 핀키엘스테인 교수님이 처음 제시한 가설들을 수리 모델로 실험해봤으나 관찰된 p53 단백질의 변화와 거리가 먼 결과들이 나왔다. 몇 가지 다른 가설을 세웠으나 역시 실패했다. p53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는 분자들이 너무 다양했기에,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