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잘한다, 곡물이 자란다 한적한 시골길, 느닷없이 초가 두 채와 대나무 다리가 보입니다. 지금까지 단단한 다리만 건넌 사람은 삐걱삐걱 대나무 다리 소리가 무섭게 들릴지도 몰라요. 조심조심, 느리게 걷게 되는 모습이 사뭇 잘 어울리는 이곳은 ‘사완본딘 농장’입니다. 사완본딘은 ‘땅 위의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하면 케플러 추측의 다른 차원 문제가 풀리는 거지요. 수학자들은 막연하게 1900년대 초부터 정수론에서 활발히 연구하던 보형 형식이 콘과 엘키스가 말한 함수가 아닐까 추측했습니다. 이 함수가 워낙 성질이 좋아서 여기저기 많이 쓰이거든요. 하지만 함수를 찾는 게 워낙 어려워 내로라하는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압력, 기울기 센서를 통해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지요. 이 모든 과정이 0.005~0.008초마다 한 번씩 연속적으로 이뤄진답니다. # 아직 스키 로봇의 움직임은 완벽하지 않아요. 하지만 연구가 계속된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로봇과 사람이 스키 시합을 벌일 날도 오지 않을까요? 앞으로 계속될 스키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패드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패드는 얼음 표면의 온도가 영하 6도일 때 약 5초 동안 문지르자 얼음 표면 온도를 영하 1도가량 상승시켰다. 공교롭게도 이 패드는 컬링 세계랭킹 1, 2위를 다투는 캐나다 대표팀이 사용하는 패드였다. 다행히 한국 대표팀도 캐나다 대표팀이 사용하는 패드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히드로모르폰 등 2개 제제를 다른 약물과 병용할 때, 단독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낮은 초기용량을 처방하고, 임상 반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한다는 안정성 서한을 발표했다. 김광현 식품의약품안전처 대외협력실 주무관은 “오피오이드에 대한 미국 등 다른 나라의 연구결과를 지속적으로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더군다나 세 번에 걸친 이들의 발견은 IUPAC으로부터 인정받기에 충분했다. 권영관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실험장치 팀장은 “실험 완성도에 있어 네 번의 알파붕괴와 여섯 번의 알파붕괴는 매우 큰 차이”라며 “이제까지 원소 발견은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독일을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윤성빈 선수의 경우 햄스트링의 근육량이 70에 못 미쳤다. 스켈레톤 선수들은 100m를 11초 초반에 끊고 200kg이 넘는 역기를 들고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만큼 근육량의 비율을 맞출 필요가 있다. 연구팀은 훈련을 마친 뒤 몸에 쌓인 피로를 최소로 줄이는 회복 방법도 찾아냈다. 선수들의 혈액과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도약할 때 바람의 저항이 가장 작은 자세가 무엇인지 몸으로 느끼며 훈련했다. 국내 최초 여자 스키점프 선수인 박규림 선수는 “유튜브에서 외국 선수들이 풍동실험 시설에서 훈련하는 영상을 보면서 동일한 훈련을 하고 싶었다”며 “실제로 훈련해 보니 스키점프대에서만 느낄 수 있었던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난자의 유리화 동결 기법은 차병원이 처음 개발했다. 난자에 동결 억제제를 넣은 뒤 10초 안에 온도를 영하 200도까지 떨어뜨린다. 이렇게 하면 난자의 세포질 내에 있는 수분이 동결억제제와 함께 얼면서 슬러시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동결된 세포는 1시간 내 임시탱크에 옮겨진 뒤 다시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시속 90km가 넘는 속도로 빠르게 내려오다가 새처럼 비행하는 종목이지. 선수들은 대략 8초 동안 하늘을 날고, 남자 선수는 최고 253.5m까지 뛰었어. 멀리 뛰기 위한 특별한 비법이 있는 건 아닐까? 스키점프 선수가 뛴 비거리와 자세의 관계를 연구한 사례가 있어. 레이놀즈 평균 나비에 스토크스(RANS)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