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로스바뇨스에 자리 잡고 있다.바로 이웃에는 동양에서 꽤 유명한 필리핀대학교의 농업계
학부
(UPLB) 및 대학원이 있다. IRRI는 설립당시부터 UPLB로부터 광대한 실험농장 및 연구소 부지(현재 약 2백80ha)를 무상으로 빌어쓰고 있다(일설에는 연간 임대료가 1페소라고 하는데 이는 한화로 27원에 해당한다)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언급한다.생물자기학에 대한 커시빙크 박사의 관심은 20년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학부
를 다닐 때부터 시작됐다. 그 당시 그는 생물학과 지질학을 모두 전공으로 선택했는데, 지질학 수업시간에 자철광은 지질학적인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고 배웠다. 그러던 어느 날 생물학 교수가 원시 연체동물을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개설된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었던 것이다. 미국에는 원자핵공학이 대학원 과정에만 있고
학부
에는 없다.어쨌든 원자핵공학이 첨단학과라고 하니 제1회 입학생을 뽑는데 전국에서 내로라 하는 인재가 다 모여들었다. 그렇지만 원자핵 공학을 전공한 전문가도 없는 국내 사정에서 이들에게 가르칠 수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당부다.또 91년 서울대의 전기·전자 제어계측의 3과가 통합된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학부
과정에서는 특정 전공의 강조보다는 공학일반의 기초를 섭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최근의 흐름에 비추어볼때 전파공학과 분리신설이 꼭 바람직한 일만은 아니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에대해 홍익대의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화학과 물리학과 등이 있다. 신소재연구가 폭넓은 기초과학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학부
과정에서는 물리학이나 화학 같은 기초과학을 전공하고 석사 이상에서 세부전공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는 연구원들도 있다.신소재 세계시장 규모는 지난해 9백48억달러에서 오는 서기 2000년에는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부분의 전산관련 학과에서 리스프를 고학년에서 잠시 가르친다. 그러므로 대개의
학부
졸업생에게 리스프는 생소하고 꺼림칙하게 느껴진다. 이런 교육환경은 빨리 고쳐져야 할 것이다. 필자 역시 포트란 세대여서 스스로 짠 리스프 프로그램을 보면 마치 국민학생이 삐거덕거리며 바이올린을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기존의 바이러스가 아닌 제법 짜임새 있는 신종 바이러스를 만들려면 적어도 전산학으로
학부
과정을 마친 사람이 일정 기간 그 일에만 몰두해야 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국내에서 종종 발견되는 변종 바이러스들은 해커들의 작품으로 인정되지만, 새로운 바이러스는 전문가가 특정 목적을 가지고 ... ...
학부
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수 있도록 기초실력을 단단하게 해주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라고 설명한다.대학의
학부
과정은 점차 본격적인 학문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과정, 또는 기업에서 업무를 익히기 위한 교양과정 정도로 변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과를 세분화하고 대학 진학과 함께 자신의 전공이 결정되는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개별연구'는 연구중심의 대학(원)이라는 KAIST의 캐치프레이즈를 십분 반영하는 것이다.
학부
3학년이 되면 누구나 석사과정에서 다루는 분야를 자신의 연구과제로 삼아 그 분야의 석박사과정생은 물론 교수와 직접 접촉하며 무엇을 연구하는가를 미리 살펴볼 수 있다. 4학년1학기까지의 개별연구가 ... ...
수의학이 인간의 질병해명에 기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심장의 부정맥으로 인한 것이 아닐까 하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코넬대(뉴욕주) 수의
학부
모이즈교수는 독일산 세퍼드를 이용한 동물실험으로 이러한 가설을 입증 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녀는 근친 교배를 통해 유아성 부정맥 증세를 보이는 개를 낳게하고, 이 동물의 심전도를 분석하는 연구를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