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뉴스
"
반대
"(으)로 총 3,4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왕 티라노사우루스 이기는 스피노사우루스 "물속 헤엄치는 공룡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여럿 발표됐다. 이번에 논문을 발표한 혼과 홀츠 박사도 스피노사우루스의 수생공룡설을
반대
해왔다. 두 사람은 이번 논문에서 스피노사우루스의 머리부터 꼬리까지 모두 훑으며 스피노사우루스가 물에서 헤엄치는 수생공룡일 수 없는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했다. 가령 이들은 스피노사우루스의 ... ...
[팩트체크]반려동물 코로나19 감염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결합이 이뤄지지 않으면 바이러스가 숙주동물을 감염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
반대
로 숙주 단백질과 바이러스 단백질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면 바이러스는 숙주에 쉽게 침입할 수 있게 된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유럽유전체조절연구소(CRG) 연구팀은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사람, 닭, ... ...
백신 공급 물량 부족에 엇갈리는 1·2회차 접종 간격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못할 경우에 유연성을 두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접종간격 확대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23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영국의학협회(BMA)는 휘티 최고의학보좌간에게 비공개서한을 보내 "최대한 신속하게 많은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한다”면서도 ... ...
[인간 행동의 진화] 열대어의 화려함은 투쟁의 산물
2021.01.24
궁색하다. 정신이 사납기는 하지만, 오히려 호기심이 나서 더 열심히 보게 되지 않는가.
반대
로 경고색이라는 주장도 있다. 독을 가진 물고기를 흉내 내는 것이란다. 그렇구나. 하지만 이내 드는 의문 하나. 그러면 독을 가진 물고기는 처음에 왜 화려해졌는가? 풀리지 않는 질문이 이어지지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과의 비교가 내 삶을 괴롭힐 때 ‘선 긋기’
2021.01.23
존재 이유다. 따라서 비교를 시작하고 그래서 '나는 무엇을 더 열심히해야겠다'거나
반대
로 '덜 신경써도 되겠다'는 판단이 섰다면 이미 비교의 기능을 충분히 누렸으므로 그 이상은 선을 넘는 것임을 의식할 필요가 있다. 인간에게 ‘의식적 사고능력’이 존재하는 이유 역시 자동적으로 ... ...
고양이의 ‘일타쌍피’ 생존 전략일까…기분 좋고, 모기 쫓고
2021.01.21
"고양이가 쾌락을 느끼기 위해 캣닙에 부비다가 모기 쫓는 효과까지 얻게 된건지,
반대
로 모기를 쫓는 효과를 얻으려고 캣닙에 부비다가 쾌락을 느끼게 된 것인지 전후 관계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미야자키 교수는 "연구결과는 고양이가 캣닙에 부비는 게 실용적인 행동일 수 있음을 ... ...
돌연사 부르는 급성심근경색, 금나노 칩으로 조기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1.01.21
이용해 단백질을 금 나노선에 고정한 뒤 형광물질이 묻은 또 다른 항체를 단백질
반대
편에 붙였다. 그리고 금 나노선에 가시광선을 쪼였다. 금 나노선이 가시광선을 흡수하면 플라즈몬 공명현상이 나타나면서 형광 신호가 증폭돼 단백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플라즈몬 공명현상은 ... ...
[소재의 미래]⑽ 정수기에 쓰이는 열전 반도체, 스마트 워치에도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양쪽에 온도 차이가 생기는 효과를 활용한다. 전자 이동으로 전자가 모인 곳은 가열되고
반대
로 열에너지를 빼앗긴 곳은 냉각된다. 반도체의 양쪽 끝에 온도의 차이를 주면 전자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이는 ‘제벡 효과’를 통해 전력이 생산된다. 열전 반도체를 이용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
2021.01.19
amygdala) 활성이 커지고 전전두엽(PFC) 활성이 작아지는 반면 주도적 공격을 할 때는 그
반대
가 된다. 인간은 반응적 공격을 자제하고 주도적 공격을 능숙하게 할 수 있게 진화했다. ‘심리 범죄 및 법률’ 제공 주도적 공격성은 무리지어 사는 동물들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영역을 지키거나 ... ...
특정 공간과 장소 찾아가는 뇌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저장하는 ‘빈도코드(rate code)’를 사용하는 세포 집단이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
로 물체가 많은 복잡한 환경에서는 CA1 심층부의 활성도가 높아지면서 정보처리에 여러 신경세포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을 함께 저장하는 ‘위상코드(phase code)’가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