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제거
분리
뽑아냄
발췌
뉴스
"
추출
"(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의 절대기준은 존재하는가?
2015.10.26
우리는 건강한 자손을 많이 낳을 수 있는 외형적 특징을 아름답다고 느낀다는 것. 이렇게
추출
된 특징이 대칭성,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 평균성(averageness)이다. 대칭성은 말 그대로 좌우대칭으로 대칭성이 클수록 유전자에 결함이 없다는 뜻이다. 즉 발생과정에서 좌우가 맞는다는 건 유전자 ... ...
빛 쪼여 성분분석 ‘광학기술’… 미생물 이용한 ‘대사공학’…
2015.10.26
휘발유를 생산하는 대장균 균주를 만드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원유를 수입해 연료를
추출
하는 것에 비하면 값이 훨씬 비싸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 ...
바나나에서 만병통치약 실마리 찾아
2015.10.25
‘반렉(BanLec)’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반렉은 바나나에서
추출
한 단백질로 바이러스 표면의 당단백질과 결합해 독감이나 간염, 에이즈(AIDS·후천면역결핍증)까지 한 번에 치료할 수 있는 만능 치료 후보물질로 꼽혔지만 부작용이 심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데이비드 ... ...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위해 매머드박물관에 보관 중인 매머드 사체에서 체모 일부를 받아 왔다. 여기서 DNA를
추출
해 유전자를 분석한 뒤 매머드를 복원할 계획이다. 빙하기 이전 매머드의 외형과 생활상을 통해 당시 인류가 어느 지역에 거주했는지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머드는 현생 코끼리와 유전자 차이가 0.2 ... ...
의심 환자, 바이러스 감염 바로 확인하는 키트
2015.10.21
실리콘 바늘 위를 지나가며 세포막이 파괴되고 혈액 중 항원과 유전물질만 자동으로
추출
된다. 실험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키트는 혈액 중 백혈구를 99% 거의 완벽하게 분리했고 시약이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기존 기술 대비 120%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 양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키트를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받았다. 참고로 나빅시몰스는 THC와 CBD가 비슷하게 들어있는 카나비스 품종의 식물체에서
추출
한 약물이다. 이 회사는 현재 나빅시몰스를 암환자용 진통제로 3상 임상시험을 하고 있다. 한편 THC와 CBD로 뇌종양(신경교종암)을 치료하는 2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고 THCV라는 또 다른 카나비노이드로 ... ...
코끼리가 암에 잘 안 걸리는 이유
2015.10.11
걸리는 것일까. 연구팀은 코끼리와 정상인,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환자로부터 세포를
추출
한 뒤 자외선을 쪼여 암을 유발했을 때 p53 단백질의 작동으로 얼마나 많은 암세포들이 파괴 되는지 확인했다. 리프라우메니 증후군이란 희귀유전병으로 p53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며 ... ...
현생 인류,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거 맞다
2015.10.09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사진)팀은 더블린대가
추출
한 화석의 DNA를 넘겨받아 시퀀싱(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모타 동굴인은 갈색 눈에 검은 피부를 가진 남성으로 유라시안의 모습과는 다른 것으로 판명됐다. 또 우유를 소화하는 유전자가 없어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동진시대의 도학자이자 의약학자였던 갈홍. 투유유 교수는 갈홍이 남긴 문헌에서 개똥쑥
추출
법의 영감을 얻어 아르테미시닌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일본의 문헌에 있는 갈홍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투 교수팀은 이 놀라운 연구결과를 1985년 발표했지만 서구 의학계의 시선을 싸늘했다. ... ...
[2015 노벨 생리의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年 2억 명에게 희망, ‘기적의 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5.10.05
그래서 투 교수는 고대 의학 서적을 읽으면서 개똥쑥에서 성공적으로 반응체를
추출
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습니다. 이렇게 해서 그는 아르테미시닌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최초로 선보인 사람이 됩니다. 아르테미시닌은 말라리아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