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조화
믹스
혼합
화해
연합
결합
뉴스
"
화합
"(으)로 총 1,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스팔트가 오염 물질 흡수해 청정 공기 만든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7.17
화제다. 네덜란드 아인트호벤공대 발라리 박사팀은 이산화티타늄(titanium oxide)
화합
물을 코팅한 도로와 그렇지 않은 일반 도로에서 자동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 농도를 관찰한 결과, 이산화티탄으로 코팅된 도로에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최대 45%까지 적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 ...
세균 먹는 바이러스 東海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유전체를 분석했더니 기존 바이러스와는 구별되는 특이한 염기서열이 나타났다. 황
화합
물을 산화하는 효소가 처음으로 발견됐고 유전정보를 복제할 때 필요한 효소의 구조가 특이하다는 사실도 밝혀진 것이다. 이런 정보는 해양 바이러스를 연구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어 특히 의미가 있다. ... ...
설탕물 하나면 뇌를 투명하게...3D 뇌지도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올해 4월 미국 스탠퍼드대 정광훈 박사팀은 하이드로겔로, 2011년 일본 연구팀은 질소
화합
물인 ‘요소’를 이용해 뇌 조직을 투명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이 방법들은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3주 이상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샘플을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 ...
3D 프린터 알고보니 도깨비 방망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지에 전극이 흐를 수 있도록 양극에는 리튬 금속
화합
물을, 음극에는 다른 나노입자를 사용했다. 루이스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3D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지닌 미세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미세 ... ...
에너지도 재활용한다고?···기후변화 시대엔 ‘필수’랍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폐식용유를 모아 만든 ‘바이오디젤’도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미세분진, 황
화합
물 등 유해물질 배출이 기존 경유에 비해 적은 재활용 연료다. 기존의 바이오디젤 원료는 목재나 해조류 등이었으나, 토양이나 수질 오염을 시킬 수 있는 가정용 폐식용유로 디젤을 만들어 환경도 ... ...
이것 없애니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싹~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사실에 놀라워했다”며 “베타 아밀로이드와 수용체를 떼놓을 수 있고 사람에게 적합한
화합
물을 발견한다면 새로운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임상의학 분야 학술지 ‘임상의학저널’ 1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미래형 첨단 전자소자 대량 생산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넓은 면적으로 대량생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촉매나 패턴 공정 없이
화합
물 반도체를 이용해 반도체 나노선을 넓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실리콘 기판 표면을 양이온으로 처리한 뒤, 음전하를 띤 비소가 섞인 나노선 물질을 성장시켰더니 2인치 크기의 기판 위에 얇은 막 형태로 ... ...
곤충에 물렸을때, '나노스펀지'로 해독해보세요~
과학동아
l
2013.06.07
발표했다. 연구팀은 몸에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독을 흡수하는
화합
물로 공 모양의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나노입자를 적혈구 세포에서 분리해낸 세포막으로 코팅해 나노스펀지를 완성했다. 이 나노스펀지는 적혈구 모양이고 지름은 약 85nm다. 적혈구의 3000분의 1 정도로 매우 작아서 ... ...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인공 두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자에 반복적으로 전기자극을 가하면 폴리에테르
화합
물 안의 수소이온이 탄소나노튜브와 결합하고 분리되는 반응이 일어나면서 신호를 처리하는 것. 이 메커니즘은 아주 매우 작은 에너지로도 작동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량이 높았던 기존 회로의 단점을 ... ...
왜 좋은 의사를 찾아 보기 어렵게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12
이 책에서는 1920년대 생명의 기원 분야의 선구자인 오파린이 생명에 필요한 유기
화합
물은 초기 지구에서 화학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었다는 주장에서 출발한다. 그러면서도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연구의 발전 과정, 특히 스탠리 밀러의 실험으로 대표되는 ‘생명의 불꽃’에 대한 설명을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