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뉴스
"
정도
"(으)로 총 13,548건 검색되었습니다.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그래핀처럼 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두께 역시 그래핀과 마찬가지로 원자의 지름
정도
로 얇다. 송 박사는 “흑린은 차세대 트랜지스터 소재로 잘 알려진 그래핀과 이황화몰리브덴 보다 전자이동도가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흑린도 단점은 있다. 공기와 반응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빛을 내는 적색왜성이다. 이들은 태양보다도 작은 별들로 최저 한계치는 태양 질량의 7%
정도
다. 우주의 나이에 비해 큰 별들의 수명이 무척 짧기 때문에 의외로 정확하게 관측된 큰 별이 많지 않다. 그리고 별이 얼마만큼 무거울 수 있는가에 대한 상한치를 명쾌하게 제시하는 이론도 없다고 한다.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과학이 겨울을 즐겁게 하리라
2014.11.16
하루 150t 이상의 눈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제빙기 설치 이후 비발디파크는 10%
정도
영업일수가 늘어났다. 미국이나 호주에선 많은 물을 식히기 위해 저수지에 차가운 공기를 인공적으로 불어넣는 ‘버블 냉각방식’도 쓰인다고 한다. 아직 실용화 된 곳은 없지만 ‘과냉각 잉공눈’이란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전자가 쌓인 뒤 지상으로 떨어져 내리는 현상으로 미국에서면 한해 약 2500만 번
정도
나타난다. 데이비드 롬프 UC버클리 지구및행성과학과 교수팀은 지구 전역의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번개가 12% 가량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전까지 번개를 예측할 때는 주로 강우율이라는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에너지를 정확히 계산할 수 없다”면서도 “영화에서 묘사되는 수준의 비행이 가능할
정도
라면 부족한 산소를 늘리고 열악한 환경을 복구하는 등 지구를 구하는 데 이 에너지를 쓰는 게 더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 블랙홀 안에서 바깥으로 정보 전송은 허구 영화에서 통일장이론은 인류를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화학공학과 교수는 “광자 하나에서 전자 하나를 만드는 태양전지의 경우 효율이 30%
정도
인데,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만들면 광자 하나에서 전자를 한 개 이상 만들 수 있다”며 “이론적으로는 퀀텀닷으로 효율 60%를 넘는 ‘꿈의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손동익 ... ...
“후쿠시마 원전 인근 주민 방사선 피폭 거의 없어”
2014.11.14
하세가와 아리후미 후쿠시마의대 교수.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년간 인근 지역 주민 43만5788명의 방사선 피폭량을 조사한 결과 ... 암을 비롯한 심각한 질병에 걸릴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이 6만303명 중 절반
정도
인 48%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 ...
인류, 혜성 착륙 첫 성공
2014.11.13
67P 혜성이 만날 수 있도록 10년 전에 미리 우주로 쏘아 올린 것이다. 필래의 무게는 100kg
정도
지만 67P 행성은 중력이 거의 없어 착륙과 동시에 드릴 장치와 작살을 이용해 혜성 표면에 몸체를 고정했다. 필래에는 10가지 첨단 측정 장비가 실려 있으며 67P 혜성의 사진 촬영과 토양, 가스 등을 ... ...
독한 돼지 냄새, 미생물로 잡았다
2014.11.12
돼지는 일반 우리에서 키운 돼지보다 체중이 10kg 더 나갔다. 덕분에 출하시기도 10일
정도
빨라졌다. 유 연구사는 “악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돈 농가의 사육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지난해 이 제품의 제조 기술을 국내 생균제 전문업체에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표면에너지가 높은 고분자로 주형을 만들어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 이 주형으로는 10nm
정도
의 초미세 나노 구조물도 들러붙지 않고 인쇄가 잘됐다. 또 필요에 따라 주형의 표면 접착력을 조절해 사람의 피부를 포함한 거의 모든 표면에 나노 구조물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로 이 기술을 이용해 ... ...
이전
1206
1207
1208
1209
1210
1211
1212
1213
1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