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2,401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왜 수퍼 전파자가 많을까
2020.04.06
늘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들이 바이러스를 타인에게 전파시킬
가능
성이 동등할까. ‘수퍼 전파자(Super-spreader)’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 꼭 그렇지는 않다. 수퍼 전파자는 보통의 감염자보다 훨씬 많은 2차 접촉자를 감염시키는 숙주를 뜻한다. 수퍼 전파자를 설명하는 ‘20/8 ... ...
불법 영상 콕 집어 삭제...AI가 'n번방'의 눈물 닦아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대한 검색기능을 확보했다. 사람이 직접 영상물을 골라내지 않아도 24시간 자동 검색이
가능
하다. 해외에서는 불법 촬영물 유포를 막기 위해 일찌감치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3월 AI를 이용해 디지털 성범죄물의 선제적 차단에 나선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피해자가 먼저 사진이나 ... ...
약물 전달부터 폐수 정화까지...'재료' 꽃가루의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결합하면 플라스틱을 대체할 소재로도 사용된다. 수레시 총장은 "꽃가루는 지속
가능
하며 경제성이 높은 재료이면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잠재성을 갖추고 있다”며 “음식 포장재, 휘어지는 전자소재, 폐 기름 흡착재 등 다양하게 응용 방법을 현재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 ...
코로나19 '공기전파' 두고 학계는 여전히 논쟁 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입장을 보였다. 다만 네이처도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기전파의
가능
성 자체를 부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마이클 오스터홈 미국 미네소타대 공중보건학과 교수는 “공기전파에 대한 증거를 모으는 것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리디아 모라우스카 호주 ... ...
교토대 수학자 'ABC추론' 증명 소식에 日 열도만 열광…서구 수학계 '냉담'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일본 교토대가 3일 기자회견을 열어 모치즈키 신이치(望月新一·51) 교토대 수리해석연구소 교수가 수학 난제인 ABC 추측을 증명했다며 쓴 논문이 올바르다는 것이 ... 말했다. 그는 "당분간 오히려 논문 출판을 강행한 수리해석연구소에 대한 비판만 심해질
가능
성이 꽤 크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처음 만나는 나노입자의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측정하고, 측정 오류를 수정하는 알고리즘을 도입했다. 그 결과 0.02nm까지 구분이
가능
한 정밀한 입체(3차원) 구조 영상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0.02nm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인 수소 원자의 6분의 1 크기다. IBS 연구팀이 개발한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기술로 백금입자를 관찰한 사례다. 위부터 ... ...
산발적 집단감염·해외 유입 위험 차단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주 더 연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4
50명 이하로 환자 발생이 감소한다면 큰 부담 없이 중증환자를 아우른 안정적인 치료가
가능
하다"며 "방역망의 통제를 벗어난 신규 환자가 대규모 집단감염을 일으킨다면 신천지와 같은 사태가 또다시 초래될 수 있어 이 같은 환자를 최소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목표가 조기에 ... ...
코로나19로 천문연구도 '잠시 멈춤'…칠레 전파망원경 가동중단
연합뉴스
l
2020.04.04
로이터에 "가동 중단은 전례 없는 일이지만 불가피했다"며 "중요한 망원경 시스템이 가동
가능
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필수 인력이 계속 근무하고 있다"고 전했다. 천문대가 폐쇄되면서 이곳 전파망원경을 활용한 국제 천문 연구도 지연될 수밖에 없게 됐다. 유럽이 운영하는 한 천문대 ... ...
인체 단백질 공략하고 줄기세포 활용한다…코로나19 치료제 새 후보들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4
일본에서는 췌장염 치료제로 승인을 받은 약으로 안정성이 확보돼 있어 빠른 임상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셀’ 논문 나온 뒤 한 달 뒤 임상시험…’기초연구의 힘’ 캐모스타트 메실레이트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세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세린 단백질가수분해효소(프로테아제)’의 기능을 ... ...
[잠깐과학]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4.04
알루미늄의 광택은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았다. Shirley Bury 제공 결국 알루미늄의 활용
가능
성은 얼마나 저렴한 제련법을 찾느냐에 달려 있었다. 미국의 화학자 찰스 마틴 홀은 대학생 시절 ‘알루미늄 제련법을 발견하면 엄청난 부자가 될 것’이라는 교수의 말을 듣고 연구를 시작한다. 1886년 그는 ... ...
이전
1208
1209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