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15,29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조미료 주성분 MSG는 무해하다"
과학동아
l
199403
'더블블라인드 테스트(Double-Blind Test, 실험자와 피실험자가 모두 실험 내용을 비밀로
한
실험)'를 통해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그는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CRS의 주 원인이 MSG가 아니라 중국집에서 자주 사용하는 간장 검은콩 새우페이스트 등의 재료들이 발효되면서 형성된 히스타민계통의 ... ...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
과학동아
l
199403
전달
한
다. 이와 같은 생쥐를 유전자 이식생쥐라 부른다.유전자 이식 생쥐를 이용
한
돌연변이 유전자의 연구는 여러분이 생명의 신비를 탐구하는 생명과학의 길을 택하면 직접 접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03
이에 대
한
대중적 인식확산이 무엇보다 필요
한
때입니다.장명화―혹
한
인데도 연만
한
선생님들도 젊은 선생님 못지않게 열심히 탐사에 임하시는 모습을 보고 감명받았습니다. 이를 학문과 연결하면 좋은 결실이 있을 듯합니다. 아울러 이런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신 동아일보와 쌍용에 감사드립니다 ... ...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과학동아
l
199403
되지요. 따라서 가열해 증기가 된 요오드가 종이에 닿아 지방이 있는 부위와 반응해 일정
한
윤곽을 만들게 되고, 갈색 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 지문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실험방법1. 지문이 묻어 있는 종이의 부분을 오려둡니다.2. 요오드 결정 약간을 플라스크에 넣고3. 요오드가 기체로 될 ... ...
인체는 다양
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달리 변수가 너무 많아서 정확하게 모델을 만들 수 없다. 나비의 날갯짓처럼 아주 미세
한
요인에 의하여 폭풍우같은 엄청난 일기변화가 유발되긴 하지만 나비의 날갯짓이 언제 어느 곳에서 기상계에 영향을 미치게 될지를 알아내는 것은 인간의 능력을 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어느 누가 ... ...
PART.1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403
국내에서 판매된 게임은 대략 2백60여 종류로, 이는 월 평균 20종류 이상의 제품이 등장
한
셈이다. 장르별로는 아케이드와 시뮬레이션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가격별로는 1만원-3만원 미만의 제품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92년도에 1만5천원 미만의 제품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중에서 나와의 최단거리에 있을 때에 발음
한
것이 제일 먼저 들리고 그 전이나 후에 발음
한
것은 그 후에 순차적으로 들릴 것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엉망진창으로 된 소리가 들린다.예를 들어 "우리 저녁에 도서실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하면서 내 옆을 지나가는 친구가 있다고 하자. 그 친구가 '도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03
수입하는 것인데 그 값이 싸지 않다.모든 '유해
한
잡초'에 대해서 어떤 동물에 의
한
생물학적 통제가 필요하다. 딱정벌레 대신 우리 스스로 이 녹색의 골칫거리를 거두어 들이는 것은 어떨까? We're told we should not be too quick to condemn something as bad. We're also to ...
세계 각국의 진기
한
연
과학동아
l
199402
연을 이용
한
공중촬영은 사람이 가까이 갈 수 없는 화산활동, 생태계 조사, 조감도를 위
한
사진 등을 적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연은 항공 과학의 기초분야다. 보다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을 알기 위해 노력하면 우리의 미래는 창공을 누비는 연처럼 희망적일 것이다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02
나타나 환경변화에 적응하면서 무수
한
변화를 하듯이 사람을 좋아하는 바이러스도 무수
한
변화를 하면서 공존하지 않을까? 결국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적응할 수 없도록 조치하는 방법이 바이러스 퇴치의 최선의 길이 되는 것이다 ... ...
이전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