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Armadillos and Human Leprosy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요리해서 먹었다고 했다. 이러한 사실은 결과에 대한 과학자들의 확신을 더해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직접 아르마딜로와 접촉했다 하더라도 나병이 옮을 가능성은 낮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환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안티박테리아 물질로 치료받을 수 있다고 해도, 박테리아에 전염될 수 있으므로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미라는 그 나라의 기후와 생활양식을 대변한다. 이들 미라를
연구
하고, 조상들이 전해준 정보를 찾아내는 일. 미라로부터 얻은 고대의 정보를 통해 의학과 문화를 한층 더 풍요롭게 가다듬는 일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의무가 아닐까. ▼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다.[➊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다양한
연구
그룹이 활동 중이다. 아래는 유럽입자물리학
연구
소(CERN)의 ‘엑시온 태양망원경(CAST).’][➋ 최근 윔프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주장한 코겐트(CoGeNT) 텀의 검출 시료인 결정 게르마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Part 1. 우주에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표하는 국가별 GDP와 비교했다. 그 결과 도시가 밝으면 GDP가 더 높았다.
연구
팀은 “이
연구
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에 더 잘 맞아떨어진다”며 “미국과 호주와 같은 나라는 도시가 분산돼 있어 밝기와 경제 성장의 정도가 정확히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 첸 ... ...
감기 예방약 개발, 청신호 켜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표면 단백질을 써서 세포의 표면에 붙은 융합한 다음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
연구
팀은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단백질을 새롭게 개발했다.이 단백질 성분을 주사나 먹는 약으로 만들면 바이러스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맞게 설계됐지만 조류독감 바이러스에도 맞는 것으로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코크대 론 핀하시 교수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선사
연구
소 블라디미르 도로니체프 박사
연구
팀은 흑해 동쪽에 위치한 러시아 메즈마이스카야 동굴의 중~후기 구석기 지층에서 채취한 두 구의 네안데르탈인 신생아 유골 25개에서 콜라겐 성분을 뽑아내 탄소동위원소 연대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이 ... ...
고기 좋아하면 뱃속에 ‘육식미생물’ 자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장내미생물 분류 표. 연두색은 초식, 빨간색은 육식, 파란색은 잡식동물의 장내미생물이다.] 평소 먹는 음식에 따라 장내미생물의 종류도 달라진다는 ... 페이스 박사는 “식습관에 따라 미생물이 60% 이상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두
연구
팀의
연구
결과는 5월 20일 ‘사이언스’에 실렸다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밀한 방법으로 실험했으나 찾을 수 없었다며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미국의 암흑물질
연구
팀인 ‘코겐트(CoGeNT)’도 나섰다. 코겐트는 5월 5일 미국물리학회에서 “2010년 1월부터 15개월간 관측한 결과 희미하지만 계절별 차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연구
소가 주도하는 기초
연구
가 진행된다면 기능지구에서는 기업 등 산업계가 기초
연구
를 응용한 기술을 개발하거나 우수인력을 채용하는 등 기반을 만들어 준다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나노생명화학부 교수)은 유도만능줄기세포와 직접교차분화세포의 장점을 결합한 방향의
연구
를 진행하고 있다. 즉 체세포를 원하는 체세포의 바로 윗단계의 성체줄기세포까지만 역분화시킨 뒤 이를 원하는 체세포로 다시 분화시키는 방법이다. 즉 이편 계곡에서 저편 계곡으로 넘어가는데 ... ...
이전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1219
1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