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개발한 시스템에는 이 기능이 모두 들어 있다. 현재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의료진과 공동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스타트업에도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 ...
- [과학뉴스] 프린터로 출력한 종이칩으로 질병을 진단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혈액검사를 할 수 있게 됐어요. 서강대학교와 덴마크공과대학교, 태국 출랄롱콘대학교 공동연구팀은 프린터로 종이 전자칩을 출력해서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이 칩은 일반 용지에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해서 간단히 만들 수 있어요.먼저 프린터로 ... ...
- [과학뉴스] 감싸주면 성격 버린다? 개의 경우엔 사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경우엔 이 말이 사실임이 드러났다. 에밀리 브레이 미국 애리조나대 인류학부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미국 뉴저지주 맹인 안내견 훈련 프로그램에 등록한 강아지 98마리를 관찰했다. 그 결과 전체의 약 70%가 훈련에 성공한 가운데, 어미의 보살핌을 많이 받은 강아지는 그렇지 않은 강아지에 비해 ... ...
- [과학뉴스] 토스터 크기 검출기로 ‘유령 입자’ 검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비활성 중성미자는 암흑물질의 유력한 후보이기도 하다. 미국, 러시아 등 4개국 80명의 공동연구팀은 중성미자의 ‘결맞음 탄성 중성미자-핵 산란(coherentelastic neutrino-nucleus scattering)’ 현상을 최초로 관측해 8월 3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파쇄 중성자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IBS) 유전체교정연구단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크리스퍼를 이용해 인간배아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인간배아의 유전자를 교정해 비후성 심근증 변이 유전자가 자손에게 전달될 확률을 50%에서 28.6%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0.3802/jgo.2017.28.e67). 김 교수는 “앞으로 왓슨을 활용 중인 해외 연구기관 전문가들과 공동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어떤 요인과 특정 질환 사이의 연관관계를 밝히는 ‘코호트 연구’다. 왓슨이 가진 수많은 환자의 빅데이터(건강 상태, 음주, 흡연 등 ...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스테고사우루스 등이 있지요.하지만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와 런던 자연사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지금까지의 공룡 계보가 틀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74종의 공룡 화석을 457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분류해 이를 비교 분석했어요. 그 결과 용반목의 수각류 공룡과 조반목 ... ...
- [과학뉴스] 사람의 코 모양은 기후 탓?!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유발하는 물질을 걸러서 감염을 막아 줄 수 있어요.최근 미국과 벨기에, 아일랜드 국제공동연구팀은 기후에 따라 사람들의 코 모양이 다르게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서아프리카와 북유럽 지역의 혈통을 가진 2637명의 참가자를 선택해 이들의 얼굴을 3D ... ...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원리를 찾아냈다.이영숙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와 백경희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배추과 식물에 알터나리아 곰팡이가 피었을 때 배추과 식물이 잎의 세포 내에서 독성물질인 카마락신을 분비하고, 이를 ABCG34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잎의 표면으로 옮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 ...
- [과학뉴스] 시선이 어디로 갈지 유전자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워싱턴대 의대와 에모리대 의대 공동연구팀은 18~24개월 된 유아를 대상으로 안구추적 실험을 했다. 일란성쌍둥이 41쌍과 이란성쌍둥이 42쌍, 자폐증 장애 진단을 받은 88명의 아동과 그렇지 않은 84명 등 총 338명에게 동영상을 보여주면서 아이들이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