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봉사활동으로 혼자 생활하시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이불을 빨아 드리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조예원 학생(한영외국어고 2)은 봉사활동을 하다 의문을 떠올렸다. 질문은 소박했지만, 해결 과정은 결코 소박하지 않았다. 예원 학생은 평소 손에서 놓지 않고 사용하던 스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블록이 기계도 되고, 환경도 지킨다는 게 놀랍지? 그런데 그거 아니? 블록의 원리가 생물에도 적용된단 사실! 유전자를 블록처럼 요리조리 끼우면 새로운 생물체가 되는 거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합성생물을 만드는 과정1단계A, T, G, C 유전자를 이루는 사총사우리 몸을 이루는 유전자는 아데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상현실은 단어 그대로 가짜 체험이다.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일을 사람의 시각, 청각, 후각과 같은 감각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현실처럼 만든 시공간에서 체험한다. 이 가상공간은 두뇌가 인식하는 방식이나 생체 신호를 흉내 내서 만든다.가상현실은 1930년대에 군사 훈련 시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돌아가시기 며칠 전, 갑자기 정신이 맑아지신 외할머니가 자식들을 불러 손녀들의 몸무게를 물어보셨다. 그리고 은경에게 유품으로 체중계를 남기셨다.“애지중지하시던 건가요?”“아니, 창고에 처박혀 있던 건데.”“그럼 이걸 왜 저한테 주신 거예요?”영문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받았으니 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년 전 추석, 귀향길에 거치는 고속도로는 영동고속도로 하나였다. 20년이 지난 지금 내부순환도로에 서해안고속도로, 그리고 중부내륙고속도로까지 여러 고속도로를 거쳐갈 수 있게 됐다. 지하철 노선도 역시 날로 복잡해지고 있다. 이 새로운 길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휴대전화 사용, 활동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보였던 들뜬 표정보다는 다소 경직된 모습이었다. 그런 이들에게 한선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은 “부담을 내려놓고 슈퍼컴의 매력에 빠져 즐기는 시간을 보내길 바란다”고 격려했다.본격적인 프로그램이 시작되자, 학생들의 눈빛은 다시 호기심으로 빛나기 시작했다. 첫 시간부터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산업과 연계하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센터장을 맡고 있는 이 교수는 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근로복지공단 등과 함께 중소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예산이나 시간, 전문성이 대기업보다 부족해 새로운 기술이나 사업을 분석하는 데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쉽고 재밌게 코딩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마인크래프트로는 코딩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에서 이용하는 기술이 코딩과 비슷하기 때문이다.2009년 스웨덴의 프로그래머 마르쿠스 페르손은 농사를 짓거나 채광을 해 자원을 모아 블록으로 건물을 짓고 주변에 있는 몬스터로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생물학’ 등 최신 유전공학 기술들이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자연에서는 이미 수억 년 전부터 완전체가 되기 위한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고 있었다. ‘유전자 수평 전달(HGT)’이다.미국 워싱턴대 의대 에리카 피어슨 교수팀은 페루 리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