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용"(으)로 총 5,8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제 터질지 모르는 다이너마이트? 도시가 늙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도시 곳곳에 의문의 경고장이 붙기 시작했어. 도시에 다이너마이트가 있다는 무시무시한 내용이었지! 악당의 소행일까? 다이너마이트가 폭발하기 전에 얼른범인을 잡아야 하는데…. 일단 도시 곳곳을 뒤져 봐야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도시 노후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 Part2.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거예요.Q과학 동영상을 만들 때 가장 신경쓰는 건 무엇인가요?재미를 최우선으로 둬요. 내용만 나열해서 과학을 설명하면, 지루한 과학 수업이 될 게 뻔하니까요. 아무도 흥미를 갖지 않고, 아무도 과학의 중요성에 공감하지 못할 거예요. 하지만 사람들이 과학 이야기를 들으며 웃는다면, 과학을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유명해진 판소리 ‘흥보가’의 한 대목이죠? 심술궂은 놀부가 제비를 잡으러 나서는 내용을 담고 있지요. 그런데 진짜 제비 몰러 다니는 연구자가 있대요! 바로 흥부처럼 제비를 구하기 위해 앞장서는 정다미 연구원이지요. 새에 대한 사랑이 잔뜩 묻어 있는 꾸룩새연구소에서 정다미 연구원의 ... ...
-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온도가 낮으면 3시간, 물이 없으면 3일, 식량이 없다면 3주밖에 살지 못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답니다. 사람은 체온이 30℃ 아래로 떨어지면 심장 박동이 불안정해지며 생명이 위험할 수 있어요. 다행히 동굴 내부 온도는 24℃ 정도로, 동굴 내부의 습기로 인한 가벼운 저체온증만 걱정되는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최근에 어떤 독자에게 메일이 왔어요. 수학과에 진학하고 싶다며 진로 상담하는 내용이었죠. 그래서 수학 자문 담당 수학과 친구에게 상담을 부탁했어요. 친구는 수학과에 무척 만족하고 있고 안 좋은 점은 하나도 없다고 했고, 독자는 결국 수학과에 진학하기로 했어요. 저는 수시모집 시기에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학급으로 운영한다. 수학반과 과학반의 수는 7개씩으로 똑같다. 비록 중점적으로 배우는 내용은 다르지만, 수학과 과학반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를 체험할 수 있는 융합형 캠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2일 동안 진행되는 캠프에서는 첨단 과학기술 체험과 예술 분야 특강 등을 통해 관심의 폭을 넓힐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참가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부실학회는 학회의 형태를 표방하고 있지만, 논문의 내용 등 공신력에서는 학계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학회 발표 논문의 제출 과정도 까다로운 심사 과정 대신 참가비를 내면 짧게는 수 분 안에 허가를 내주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와셋(WASET)’이 대표적인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영화 ‘그녀(Her)’를 보셨나요? 남자 주인공이 인공지능(AI) ‘사만다’와 사랑에 빠지는 내용인데요. 비단 영화 속 얘기만은 아닙니다. 최근 중국에서는 소개팅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큰 인기를 끈 여성이 AI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상인물임이 밝혀져 충격을 주기도 했습니다.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에 ... ...
- part 2. 최석정 마방진의 비밀은 ‘대칭’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하세요. 김종락입니다. 사실 제가 수학자가 된 이유가 마방진 때문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친구가 마방진을 알려준 이후 혼자서 4차 마방진을 찾아보다 관심이 생겼지요. ... 최근 저처럼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을 연구하다 새로운 내용을 발견했다고 하던데, 어떤 내용인가요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이가 수학을 즐기도록 돕는 디자인 토도수학은 장애아동의 교육을 위해 학습 내용과 게임을 세심하게 디자인했다. 그랬더니 장애아동은 물론 모든 아이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정 최고운영책임자는 그 이유가 ‘보편적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에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