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순한것"(으)로 총 3,0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여러분은 수학을 배울 때 하나, 둘, 셋처럼 숫자부터 배웠죠? 숫자가 수학의 기초이기 때문입니다. 식물 속 수학에도숫자는 가장 기본이 된답니다.식물은 태어날 때 가지고 나오는 수에 따라 운명이 결정돼요. “될성부른 나무,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말을 들어 보았지요? 틀린 말이 아니에요. 씨앗 ... ...
- 밀레니엄 문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밀레니엄 문제는 세계적인 수학자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니만큼 일반인은 문제를 이해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수학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란 어떤 수준인지 최대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1. P 대 NP 문제컴퓨터 과학자들은 컴퓨터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P형이라고 한다. NP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소수와 관련된 난제를 풀 수 있다면 수의 비밀을 완전히 알아 냈다고 할 수 있을까? 아쉽지만 소수를 빼고도 수의 세계는 넓고 그만큼 밝혀지지 않은 성질은 많다. 수와 관련된 난제는 전문 수학자가 아닌 일반인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문제가 많다. 어떤 문제는 아주 당연해 보여서 수학자가 왜 ... ...
- 이중 암호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종이나 양피지 위에 쓴 글자를 불에 쬐었을 때만 보이게 하는 화학약품이 실제로 존재하며 그것도 아주 먼 옛날부터 사용돼 왔다는 사실은 자네도 알고 있을 거야. 산화코발트를 왕수(王水, aqua regia: 염산과 질산의 혼합액)에 녹여 4배의 물로 희석시킨 것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건 초록색을 띠지. 산 ...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영국의 진화심리학자 로빈 던바는 ‘인간의 두뇌가 관리할 수 있는 친구의 수가 150명 정도’라는 이론을 1992년 발표했다. 던바가 말한 친구의 의미는 사람 사이의 관계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다.1년 이상 지속적으로 만나며 정보를 교환하고 대화하는 관계를 뜻한다. 1년에 한두 번 카드나 주고받는 ... ...
- 화석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깊은 밤, 조용하기만 하던 화석박물관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졌어요.“…사람들은 다 갔지?”“응. 문 닫을 시간이 한참 지났거든. 안심하고 나와도 돼.야, 랩터! 그만 자고 일어나!”“음냐…, 난 원래 밤엔 자야 되는데…. 졸려 졸려….”“낮엔 관람객이 있으니 어쩔 수 없잖아. 자, 이제 연극 준비 ...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수학동아 l2010년 04호
-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최근 어린이 5명 중 2명이 미래에 가수를 꿈꾼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어려운 공부를 벗어나 많은 사람의 관심과 인기를 누릴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가수로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노래, 댄스, 개인기 모두 중요하겠지만 수학 실 ... ...
- 동물도 수학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쥐는 얼마나 먹어야 배가 부를까요? 사람은 보통 고기 300g을 먹으면 배가 부릅니다. 그런데 연구 결과 쥐는 사람으로 치면 2kg을 먹어야 배가 부릅니다. 쥐가 사람보다 약 7배 더 먹어야 배가 부르다는 소리입니다. 그건 쥐가 사람에 비해 단위 무게당 대사율이 약 7배 높기 때문인데, 여기서 대사율은 ... ...
- [새학기 특별 보너스] 새학기 증후군? 문제 없어!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보통 기대와 걱정과 함께 시작하는 새학기. 그런데 걱정이 너무 큰 나머지 학교에 가기를 두려워하는 친구들이 있다고 해. 새 친구를 못 사귀면 어떡하나, 혹시 따돌림을 당하면 어떡하나, 공부를 못 따라가면 어떡하나 하는 걱정 때문에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 거지. 바로‘새학기 증후군’이라는 ...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올해 중국에서 열리는 광저우아시안게임에서 바둑은 처음으로 정식종목이 됐다. 금메달이 3개나 걸려 바둑이 또 하나의 스포츠로 인정받은 셈이다. 이 글에서는 바둑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바둑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바둑돌을 전기를 띤 알갱이로 비유하는 방식으로 말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