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d라이브러리
"
응용
"(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DNA검사에 숨어 있는 확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
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 ...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일본은 실크 유전자 염기서열 지도를 완성하는 기초연구에서 앞서가고, 한국은 실용화와
응용
연구에서 앞서가고 있다. 21세기 실크의 재발견으로 ‘제2의 실크로드’가 열리길 기대한다.안형준 기자 butnow@donga.com▼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코패션’ 시대 열렸다천연섬유의 변신은 ... ...
성공하는 과학관의 7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입은 자원봉사자들이 옆에서 돕는다. 이들은 이기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놀이에
응용
된 과학원리를 ‘아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주며 생각하게끔 돕는다.론치패드의 입장료는 무료. 하지만 론치패드는 대개 50분마다 10분씩 문을 닫는다. 안내방송에서는 “바닥에 어질러진 쌀이나 물을 ... ...
구글 검색등수가 신뢰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
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 ‘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 ...
휴대전화에서 차세대 수소저장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유지된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여기에 수소가 반데르발스 힘으로 리튬에 결합하는 성질을
응용
해 리튬금속산화물에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을 구상했다. 즉 리튬은 수소라는 포스트잇을 쉽게 떼었다 붙일 수 있는 메모판인 셈이다.그의 예감은 적중했다. 상온에서 리튬이산화망간(LiMnO2)이나 ... ...
인쇄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휴대성도 좋아져 유비쿼터스 시대를 앞당길 것이다. 이 밖에도 인쇄전자공학 기술이
응용
되는 분야는 넓다. 플라스틱 같은 유연성 있는 기판 위에 디스플레이 또는 고성능 전자소자를 인쇄하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나 입는 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다.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기판 위에 박막을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전공했습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도 통계물리학의
응용
분야인 셈이죠.”1977년 고 3이던 이 교수는 의대 진학을 희망했던 부모님의 기대를 저버리고 서울대 물리학과에 지원했다. 의학에는 도통 관심이 없었기 때문. 평소 자유분방한 성격인지라 대학에 들어가서도 ... ...
[화학]화학반응을 결정하는 요인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열을 이용하는 예다.수소와 공기를 이용해 물을 만드는 산화-환원 반응은 연료전지에
응용
된다. 전체 반응과 전지 전위는 다음과 같고 산성 전해질(수소이온 전해질)에서 일어나는 환원 반응은 1/2 O2(g) + 2H++2e- → H2O(l)와 같다.1)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과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 ...
현지취재_진화론이 살아 숨 쉬는 다윈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블루벨의 원종을 보존하고 다른 종과 교배하는 연구를 진행한다.애브렛 박사는 “
응용
연구도 중요하지만 세계 대부분의 종이 이곳에 모인다는 사실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처 존재를 예상하지 못한 대왕오징어나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처럼 진화의 역사에서 중요한 생물을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어떻게 그리고 왜 이런 소리를 내는지는 최근에야 밝혀졌다.2000년 네덜란드 트웬티대
응용
물리학과 로세데틀레트 교수팀은 딱총새우 소리의 메커니즘을 밝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딱총새우는 먹이 사냥을 할 때 집게를 벌렸다가 순간적으로 닫으면서 집게사이에서 지름이 3.5mm 안팎의 작은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