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뒤, 줄기에 있는 물관을 통해 잎까지 전달해줘요. 이산화탄소는 잎에 무수히 많이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 얻고요. 식물의 잎에 빛, 물, 이산화탄소가 준비되면 엽록체 안에서는 이산화탄소를 포도당과 산소로 만드는 광합성이 일어난답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만든 포도당을 녹말 등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아바타 친구와 악수를 할 수도 있어요. 아바타 친구와 손이 닿는 순간 컨트롤러를 통해 작은 진동이 전달되어 마치 친구와 악수를 한 것 같은 느낌을 받지요. 나아가 실제 친구가 아닌 가상에서만 존재하는 디지털 친구와 소통할 수도 있답니다. _ 인터뷰 유범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볼일을 본 뒤 모래에 자신의 용변을 파묻는 습성이 있어요. 모래에 파묻힌 용변이 작은 감자를 닮아서 이걸 퍼내는일을 ‘감자를 캔다’고 표현하지요. 사실, 감자를 캐는 일은 여간 귀찮은 게 아니에요. 그래서, 이 크리에이터는 간편하게 감자를 캘 수 있는 독특한 화장실을 만들었답니다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붙이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날아가는 새의 모양에서 착안했습니다. 가장 작은 크기에 속하는 참새가 빠른 속도로 날개를 펼치고 날아갈 때 상하 폭이 약 5cm, 좌우 폭은 약 10cm 내외로 몸의 상하 폭은 응축되고 좌우 폭은 넓어집니다. 이런 이유로 새들은 상하 폭이 5cm, 좌우 폭이 10cm보다 좁은 ... ...
- 사과, 배, 감... 저마다 색으로 물드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월계분꽃나무라고 부르는 비부르눔 티누스에는 작고 동그란 푸른색 열매가 열린다. 이는 작은 산새류의 주요 먹이원이다. 올해 8월 실비아 비그로리니 영국 케임브리지대 화학부 교수팀은 비부르눔 티누스 열매가 익을수록 푸른색을 띠는 이유가 외피 세포벽에 있는 지질층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 3×20처럼 모든 약수가 짝을 이뤄 나타난답니다. 따라서 모든 수를 나눠볼 것 없이 n 보다 작은 수로 n을 나눠보면 되죠. 그리고 n을 나눠떨어지게 하는 약수들을 모두 찾아 더하면 되는데요, 이 작업을 하는 함수 sum_factors(n)을 만듭니다. 이때 약수들의 합은 변수 s, 그리고 n을 나눌 n 과 작거나 같은 ...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말하지요. 지난해, 저는 SNS에서 누군가 작은 비커를 들고 찍은 사진을 봤어요. 작은 실험 도구들에 첫눈에 반해 바로 구매하고 실험 영상을 만들기 시작했죠. 학생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어요. 그리고 ASMR을 찍으라는 조언도 해줬지요. 저는 과학의 재미를 함께 즐기고 싶어 유튜브를 시작했어요.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아데닌, 티민의 유도체로 실험을 하던 중 특이하게도 왓슨-크릭 염기쌍보다 결합각이 작은 염기쌍 형태를 새롭게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것을 ‘후그스틴 염기쌍’이라 명명하며 DNA가 예상보다 다양한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을 예측했다. doi: 10.1107/S0365110X59002389그리고 이런 예측은 점점 사실로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불과했다. 백금의 격자 상수(결정 구조에서 원자 간의 간격)가 수백 pm임을 감안하면 매우 작은 오차다. 관측 과정에서 연구단은 새롭고 흥미로운 사실도 알아냈다. 낮은 해상도로 관찰했을 때에는 규칙적으로 보였던 나노입자에서 불규칙성이 드러난 것이다. 동일한 조건에서 만들어진 백금 ... ...
- [매스미디어] 히든싱어6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히든싱어에 출연할 당시 부른 노래를 AI에 들려주고, 학습한 것과 비교해 오차가 더 작은 음원을 원조가수가 부른 노래로 판단하게 했습니다. 이때 오차는 두 값의 차를 제곱한 뒤 그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평균제곱오차’로 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AI가 학습한 원조가수의 발매 음원의 에너지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