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뜻
뜻매김
도리
정당
정념
정도
d라이브러리
"
정의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전했다. 어떤 한가지 주제에 대해 4-5명이 둘러앉아 장시간 동안 토론하고 나름대로의
정의
를 내려가는 자세는 지금도 하나의 단체에 속한 사람으로서 명심하는 요건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던 토론문화였죠. 학문적인 문제로 심하게 충돌하더라도 토론이 끝나고 나면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불필요하게 있다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과연 로봇이란 무엇이라고
정의
할 수 있을까. 간단히 말한다면 인간 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사람을 도와주고 힘든 작업을 대신해주며 반복적인 일도 처리해주는 지능을 가진 기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런 로봇을 연구하는 학문이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과연 어느 정도 크기가 나노기술에 속하는 것일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나노기술의
정의
를 살펴보면 1백nm 이하가 이에 속한다. 왜 하필 1백nm일까. 나노과학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이를 알아보자.처음으로 나노세계에 관심을 표현한 과학자는 리차드 파인만. 그는 1959년 12월 미국 물리학회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느낄 수 있는 카타르시스를 그 무엇과 비교하랴. 따라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감
정의
변화에 순응해 눈물을 흘릴 수 있는‘적절한’울음이 매우 중요하다. 정신적 스트레스와 긴장감에서 해방시켜 줄 수 있는 울음. 오늘부터는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며 참기보다는 시원스런 눈물을 한번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방향이 남쪽이기 때문, 즉 천문학적으로 해가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걸릴 때인 정오를
정의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북위 89도 지역에서는 해가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떴을 때를 정오라고 해 아무 문제가 없다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눈 결정이 성장한다는 것이 눈 결정 성장에서의 확산에 의한 메커니즘이다.확산은 눈 결
정의
기본구조인 6각형이 성장할 때, 각 꼭지점에서 뻗어나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다른 부분에 비해 꼭지점 부근의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물분자가 다른 부분보다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한편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다시 말해 심판을 내리는 별이니 판관 포청천의 이미지와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겠다.
정의
의 사자 포청천에 대적하는 악당은 왕위를 빼앗으려고 항상 기회를 엿보는 양양왕인데, 이 사람은 바로 하늘의 탐랑성이 지상에 내려온 것이라 한다. 한밤에 눈을 번득이면서 먹이감을 노리는 늑대를 ... ...
1. 차세대 컴퓨터 주역 쟁탈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기술들이다. “데스크탑 PC 여전히 중요”이런 미래를 가져다줄 포스트PC에 대한
정의
나 개념이 확립된 상태는 아니다. 즉 특정한 형태나 조건을 갖춘 PC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현재의 PC가 지니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는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궁정화가로서 궁정 귀족들 가운데 제 자화상을 그려 넣을 요량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궁
정의
일상을 다룬 지극히 평범한 주제 속에 화가가 끼여드는 바람에 갑자기 내용이 어려워지고 말았다. 그림을 그리는데는 조건이 세가지 필요하다. 화가, 모델, 캔버스. 곧 재현주체, 재현대상, 재현수단이다.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어떻게 증가하는가로 결정된다.컴퓨터 과학자들의 경우는 알고리듬에 대해 좀더 명확한
정의
를 내리고 있다. 입력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계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다항식(입력값의 자리수)으로 늘어날 경우 그 알고리듬은 유용하고 빠르다고, 만일 시간이 지수적으로 늘어난다면 그 알고리듬은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