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콜모고로프 척도는 소련의 과학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가 1940년에 난류 속의 두
지점
의 속도가 같을 확률을 정량화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게라르도 노미스 박사는 “고흐가 그린 소용돌이 모양이 콜모고로프의 법칙과 맞아 떨어진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라고 말했다.고흐가 정신적으로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흑룡강까지’라는 연해주였다. 한국과 중국, 러시아의 발해관이 크게 어긋나기 시작하는
지점
이 바로 연해주의 발해 역사였기 때문이었다.현재 발해의 주체와 영토에 관해서는 세 나라 사이에 공통된 학설이 없다. 각 나라의 입장에 따라 학설을 정리했을 뿐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한국은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돈을 주고 받는 행위 외의 모든 업무'를 인터넷 상에서 처리하는 정식 은행 은행 점포와
지점
등을 개설하는데 드는 설치비와 고객을 상대하는 인건비를 줄여 생긴 비용 절감 부분을 각종 수수료를 없애거나 예치금에 대한 이자율을 높이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은행을 다녀가는 시간과 수고를 들일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있기 때문이다 지구가 지니는 자기를 지구자기 혹은 지자기라 한다 이 지자기는 어떤 한
지점
에서 측정하면 항상 조금씩 변화하는데 때로는 돌발적으로 두드러진 변동을 보이는 수도 있다 그 원인은 태양의 흑점 부근에 많이 발생하는 폭발현상 때문이다 이 현상을 자기폭풍이라 한다6백50℃ 이상의 ... ...
다이빙 선수의 우승비결은 공명?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탄성을 최대한 이용해 높이 뛰어오르려고 한다. 다이빙보드는 끝에서 약 1/3 되는
지점
이 받침점으로 고정돼 있다. 다이빙 선수는 달려가면서 뛰어오르기 전까지 보드를 따라 빠르게 세 걸음을 밟는다. 이때 받침점을 지나면 고정되지 않은 보드의 끝은 아래로 회전한다. 그러면 보드가 튀어 올라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지점
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띠게 됐다. 이때 두
지점
은 고정돼 있다. 대부분 유선전화기가 광택이 없는 차분한 검은색이나 베이지색을 띠고 책상 위에서 한결 같은 위치에 버티고 있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1980년대 말 ‘카폰’이 등장하면서 유선통신의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예보시스템이 디지털예보예요.- 디지털예보는 어떻게 만드나요?우리나라 3만 7000여 개
지점
의 날씨를 예보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계산을 자유자재로 해 낼 수 있는 슈퍼컴퓨터가 필수랍니다. 슈퍼컴퓨터는 초당 수조 번의 계산을 쉬지 않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변하는 대기의 움직임을 ... ...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축구공이 사람에게 매우 위협적일 수 있다. 카를로스 프리킥에서 이 구간은 킥을 한
지점
에서 10m 거리까지다. 강한 슛을 날리는 선수의 프리킥은 약 9m 거리까지가 이 구간에 해당한다.이 구간에 수비벽이 있다면 강한 공에 맞은 사람은 위험할 수 있다. 프리킥에서 수비벽이 9.15m 떨어져야 한다는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요금이 든다. 운전기사가 생각하는 1만원 이내의 거리는 A
지점
을 기준으로 동서남북의 꼭
지점
을 갖는 마름모형 자인 셈이다.공간을 3차원으로 옮기면 단위자는 입체로 바뀐다. 이때 입체가 볼록하며 어느 방향으로든 대칭이면 ‘바나흐 공간’을 만드는 단위자가 된다. 함수해석학의 기초를 세운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교수의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 취재팀은 두만강 하구에서 북한, 중국, 러시아가 만나는
지점
을 항공촬영했다. 상공에서 바라본 녹둔도는 마치 여러 섬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함경북도 조산에서 녹둔도를 관찰한 조선인이 ‘세종실록지리지’에 녹둔도를 섬으로 기록할만했다.역사적인 개념인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