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물이야기 ⑤ 오팔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편집자 주 : 과학동아 2015년 7월호 지면에 실린 '광물이야기' 오팔 편의 사진은 편집 상의 오류로 다른 광물이 잘못 게재됐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점 정중히 사과 드리며, 현재 웹에서 보시는 광물이 기사 속 오팔임을 알려 드립니다. (2015.7.1. ... ...
- 국가대표 체조선수는 사마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몸을 숨기기도 하지만, 보통 적을 만나면 두려워하기보다 위협하는 자세를 취하는 편이에요. 위협할 때는 일단 키가 커 보이게 허리를 세우고 서서 앞다리를 위로 들어올린답니다. 날개를 펴기도 하고 ‘쉬익’ 하고 소리를 내기도 해요. 앞으로 이런 날 마주치면 조심하세요. 난 독은 없지만 물 수 ...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의 근의 공식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전까지의 근의 공식은 한 편의 시처럼 쓰여 있었죠.허수 근도 문제 없어카르다노의 공식은 단순한 풀이법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예를 들어 ‘더하면, 4가 되고 곱하면 8이 되는 두 수’라는 문장을 떠올려 봅시다. 카르다노 이전까지는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대해 앞으로 공학적, 사회적, 법적, 윤리적으로 거듭 숙고해야 한다. 지금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준 모든 과학기술은 초기 개발 당시 그 시대의 양날의 검이었다는 역사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계통이 가까울 뿐만 아니라, 집단 감염의 시작과 유행과정 등이 여러모로 많이 비슷한 편이다.2003년 1월, 중국 광저우의 한 새우 상인에게 처음 발병한 ‘페이띠엔싱페이엔’, 즉 비전형폐렴은 130명의 의료인과 환자에게 급격히 확산됐다. 당시 의료진 중 한 명이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인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제자리에서 인양하지 않고 왜 번거롭게 이동하는 걸까. 그 편이 훨씬 안전하기 때문이다.이용국 센터장은 “세월호 침몰 지역에 거대한 와류가 있어, 인양 시 순간적으로 조류의 속도와 방향이 어떻게 바뀔지 예측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북서쪽으로 2.5km 이동한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는지 말해 줍니다. 만약 어떤 길이 무너질 확률이 70%라면, 그 길을 피해서 가는 편이 좋습니다. 험난한 미래를 확률로 내다보기 위해선, 먼저 어떤 길이 있는지부터 모두 파악해야 합니다.경우를 알아야지!주사위를 굴리면, 1에서 6까지 모두 여섯 가지 경우가 나옵니다. 이렇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런 구간으로 몰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NS + 구글 → 조난자 위치 파악한편 지진과 같은 큰 재난 상 황에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 터 같이 여러 사람들이 만들 어낸 소셜미디어 빅데이터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가령 피해 지역의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직 접 확인할 수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식품 섭취에 의한 3-MCPD 인체 유해성은 낮은 편에 속한다. 검출량도 적다. 2007년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이 여러 차례에 걸쳐 간장과 라면 스프 등 식품을 대상으로 3-MCPD 검출 시험을 했는데, 평균값이 기준을 넘어 검출된 경우는 없었다.산분해 공정은 식품의 대량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작년 6월 소비자 버전이 나왔다. 인식범위가 15m로 키넥트보다 훨씬 넓어 사용하기 편리하다.INSIDE | 시각을 넘어 ‘오감’으로 가상현실 만끽하자 2013년 우리나라에는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93회나 발생했다. 지진 관측 사상 최다 기록으로 예년의 2배 수준이었다. 지진은 지난해 49차례로 다시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