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범인을 잡는‘소 년탐정 마루’, 별 박사님이 직접 들려 주는 ‘별 박사 이태형의 밤하늘 별따기’, 이순신 장군에게 배우는 과학 ‘영웅의 과학’, 눈이 휘둥그레지는 ‘착시의 세계’, 박석재 전 한국천문연구원 원장님이 직접 그린 ‘우주신령’, 현재도 연재되고 있는 ‘퍼즐탐정 썰렁홈즈’, ...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기체 속에 있는 물체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받는 힘을 부력이라고 하지. 열기구가 하늘에 둥실둥실 뜰 수 있는 것도 부력 덕분이란다.그런데 어떤 물체는 물에 뜨지만 물에 뜨지 않는 물체도 있잖아요.맞아~. 물에 가라앉는 물체는 부력보다 중력이 더 세기 때문이야. 부력은 물같은 유체 속에 있는 ...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그럼 두 번째 문제! 이번에는 아름다운 무지개 문제입니다.”비가 온 뒤에 맑은 하늘을 보면 무지개가 생긴다. 무지개는 빛이 물방울 입자에 굴절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둥근 무지개에서 빨간색이 아래일까요? 위일까요? 직접 그려 보세용!”미션3 거울에 비친 물체는 몇 개?“세 번째 문제를 ...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가장 수가 많고 화려하다는 ‘페르세우스 유성우’거든요. 매년 8월 이맘때면 북쪽 하늘의 페르세우스 자리를 중심으로 1시간 동안 수십 개에서 최대 100여 개나 되는 유성을 볼 수 있답니다. 이번 여행은 8월 12~13일에 이뤄졌지요.뭐야, 유성우가 너희 말고 또 있다고?유성우는 소행성이나 혜성이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번개 치면 우산이 피뢰침?우산처럼 길이가 긴 물체는 피뢰침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늘로 높게 들고 있으면 위험하다. 번개가 치면 비를 맞더라도 우산을 접고 걸어가는 게 안전하다.바닥으로 웅크리자!들판처럼 주위에 높은 것이 없는 장소에 있다면 손으로 귀를 덮고 머리는 가능한 땅에 ...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위로도 자랄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아니 고드름이 위에서 밑으로 자라지, 어떻게 하늘 방향인 위로 솟을 수 있냐고!”썰렁홈즈는 위로 자라는 고드름이 없다고 자신하고는 바로 ‘없다’를 선택했다. 그러자 위로 자라는 얼음이 솟아올라 썰렁홈즈에게 똥침을 놓기 시작했다.“으악~! 썰렁홈즈 ... ...
- 대결! 무지개를 만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설탕무지개가 참 예쁘죠?2 액체로 만든, 물프리즘무지개히야, 굉장하구나! 하지만 나는 하늘에 뜬 무지개처럼 빛을 이용해 무지개를 만들어 보겠어!섭섭박사님, 그게 무엇인가요?핫하하, 이건 바로 물프리즘이야. 투명 아크릴판으로 속이 빈 삼각 기둥을만든 다음, 통 안에 물을 가득 채운 것이지 ... ...
- Intro. 우주론의 역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만들다.1826년하인리히 올버스가 올버스의 역설을 만들다. 별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밤하늘이 어둡다는 것.1905년알버트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 발표하다. 시간과 공간이 하나의 연속체가 되다.1915년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다. 중력은 시공간을 휜다.1917년아인슈타인이 정적인 ...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밤하늘을 날아 찾아오는 산타클로스의 선물을 받기 위해서다. 산타가 깜깜한 북극의 겨울하늘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루돌프의 반짝이는 빨간 코 덕분이다. 그런데 루돌프가 밤에도 잘 날 수 있는 것은 코가 아니라 ‘눈’ 때문인 것 같다. 루돌프의 실제 모델인 순록은 겨울에 눈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바리케이드를 넘어 조금 전까지 총탄이 오가던 중간지대로 나섰다. 그리고 죽은 자들이 하늘로 가져가지 못한 탄약을, 금속과 화약으로 이루어진 생명의 조각을 주워 담았다.가브로쉬는 이렇게 노래했다.“사람들은 강아지를 걷어차지 않을 거야. 아직 어리니까. 적이 20배 더 많아도 우린 포기하지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