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d라이브러리
"
해양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이 차장은‘육지 사나이’에서 순도 100% ‘바다 사나이’가 됐다. 5년 전 책임을 맡은
해양
공사가 계기가 됐다. 당시 그에게 시추에 필요한 배관작업을 진행하라는 업무가 떨어졌다. 배관작업은 처음 해보는 분야라 노하우가 전혀 없었다. 협력사 직원 70명을 이끌고 일단 작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대부분의 수명은 6~7년이지만 20년 이상 사는 ‘고령자’도 발견된다. 2005년 국제저널 ‘
해양
조류학’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최고령 펭귄은 25살로 드러났다.코알라 하루 20시간 잠만 자는 이유“여기에 한 마리가 있어요.”필립섬 한복판에 있는 ‘코알라 보존센터’에서 만날 수 있는 문구다. 이런 ... ...
PART1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장기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대기뿐만 아니라
해양
과 지면, 해빙과 같은 전지구의 구성성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어서 예측할 수 있는 ‘접합대순환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장기예보에 쏠리는뜨거운 관심만큼 적중률도 높아지려면 지금보다 더 많은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ratchet 裝置) · 간헐기어장치 · 제네바기어장치(geneva drive 裝置)등이 그것이다 덴마크의
해양
조사선 1,600t 그리스 신화의 여신〈Galateia〉에서 따온 이름 1950~52년 코펜하겐 대학의 안톤 브룬 박사를 단장으로 하는 광범위한 심해생물탐사(深海生物探査)에 이용되었다에쿠아도르의 서해안에서 서쪽으로 ... ...
방어진에는 배가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떨어진다”고 밝혔다. 이를 ‘공동’(cavitation) 현상이라고 한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
해양
연구소는 ‘캐비테이션 터널’을 만들었다. 내부 압력을 실제 바닷속 프로펠러가 돌아갈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춰 프로펠러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현재 프로펠러의 추진효율을 최대 75%까지 ... ...
PART2 기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2100년“제주도의 해안지역이 물에 잠기며 관광산업이 큰 타격을 입게 됐다.”2007년 국립
해양
조사원은 제주도의 해수면이 매년 0.5cm씩 상승해 지난 43년(1964~2006년)간 약 22cm나 올라갔다면서 이대로라면 금세기 말에는 연안지역의 상당 부분이 침수될 것으로 전망했다.“ 개나리와 진달래가 2월 무렵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열팽창은 전세계의
해양
에서 수온 상승과 비례해 일어난다. 반면 극지의 얼음은 대기와
해양
의 온도가 0℃보다 높이 올라가야 녹기 시작하므로 반드시 기온 상승 정도에 비례하지는 않는다.지구 평균 해수면 높이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특히 1961~2003년의 연간 해수면 상승률이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만들어지는 중간 물질 인간이 헐크가 된다면 청바지가 찢어지는 모습이 바로 중간체다
해양
에서 수온이나 염분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물 덩어리 바다 속에서는 그 특성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해류의 흐름 등을 유추하기 위한 추적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 동해에도 대양과 흡사한 여러 수괴가 ... ...
4. 유리천장을 뚫어라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선박에 대한 공학 분야도 여성의 도전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이연승 대우조선
해양
(주) 선박성능연구소 연구원은 “조선 분야가 거칠고 남성적이라는 것은 선입견”이라며 “선박 설계 분야는 섬세함과 정확성이 요구돼 오히려 여성에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조선공학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그 북쪽의 덜 찬물이 만나 만들어지는 일종의 경계선으로 그 선을 경계로
해양
환경과
해양
생물, 날씨가 크게 달라진다몸길이가 6cm 정도인 새우 종류다 남극 주위 바다에 많기 때문에 남극새우라고도 부른다 남극해역에 회유하는 수염고래류와 어류, 바닷새류의 주요한 먹이다 5-8억t에 달하는 방대한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