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912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
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 ...
차 앞으로 뛰어든 사슴
팝뉴스
l
2021.03.11
앞차가 갑자기 속도를 줄였다. 10마리 가량의 사슴들이 나타나 그 차 앞을 지나서
길
을 건넜던 것이다. 대부분은 안전했는데 어떤 사슴은 넘어졌고 차 위에 착지하는 사슴도 있었다. 위 사진 속 사슴은 뒤에 따르던 다른 차량의 앞부분과 부딪히 위기를 겪었다. 다행히 충돌은 없었는데 ... ...
100번 세탁해도 끄덕없는 '스마트 섬유' 디스플레이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1
코팅된 은도금 날실과 전도성 씨실로 전기발광점을 형성했으며, 두 실을 면을 섞어 짜
길
이 6m, 폭 25㎝의 스카프 모양 디스플레이를 만들어냈다. 접촉감응형 섬유 키보드와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이 디스플레이에 전류가 흐르자 전기발광점에서 빛이 들어왔으며, 사용되는 전류가 ... ...
집단면역 향한 각국의 백신 접종 속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점을 감안해도 방역당국이 당초 목표로 했던 올해 11월 집단면역을 형성하기엔 아직 갈
길
이 멀어 보인다. 코로나19에 대한 집단면역이 형성되려면 전체 인구의 70~80%가 항체를 가져야 한다. 75%를 기준으로 하면 한국은 약 3886만6251명이 백신 접종을 마치고 항체를 형성해야 한다. 존슨앤존슨의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21.03.08
화석으로는 추측할 수 없는 고대 인류의 뇌를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로 연구할 수 있는
길
이 열렸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를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뇌 오가노이드를 제작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 ... ...
폭설이 내리자 서핑을 하는 남자
팝뉴스
l
2021.03.06
제공 여름을 기다리지 못해
길
바닥에서 서핑을 즐긴 한 남자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눈이 내리고 있다. 기온도 상당히 낮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자는 수영복만 입고 윈드서핑을 타는 시늉을 하고 있다. 남자는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성미가 급하고 유머 감각도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쉽게 휩쓸릴 수 있다는 점은 단점으로 꼽히나 심해를 안전하게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길
을 열었다는 평가다. 리 교수는 “극한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해 장치에 지능을 부여하고 기동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부드럽고 가벼운 재료와 구조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26광년 밖 적색왜성 도는 '글리제 486 b' 안성맞춤 모델 생명체 살 수 없지만 분광 분석에 적합…"수십년간 꿈꿔오던 행성" [RenderArea, https://renderarea.com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기사에 한정해 사용] 지구에서 약 26광년 떨어진, 천문 단위로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적색 왜성을 도는 '슈퍼지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진보이다. 즉, 진화는 뭔가 더 좋아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하필 우리말로는 모두 나아
길
진(進)자를 쓰고 있다. 진보라는 좀 추상적인 말보다 더 구체적인 개념으로 복잡성을 도입하기도 한다. 즉 진화란 복잡성이 증가하는 과정이라는 말이다. 다윈의 진화론은 수없이 많은 가지치기 과정이 끝없이 ... ...
글로벌 코로나 백신 리더들, 든든한 후원자는 정부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서울시 1호 접종자는 노원구 요양보호사. 26일 오전 서울 노원구 보건소에서 서울시 1호 접종자인 이경순(61) 요양보호사(상계요양원)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노원구청 제공 약 1년여만에 개발돼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 각국에서 긴급사용 승인을 받아 접종중인 신종 코로나바이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