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디스플레이"(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블릿 춘추전국시대… 승자는?동아일보 l2013.10.24
- 두께 9.4mm, 무게 652g)보다 두께는 20%, 무게는 28% 줄었다. 유리와 터치센서, 레티나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모든 부품을 mm 단위로 정밀하게 깎아냈다. 제품 테두리에 해당하는 베젤 부분도 전작보다 43% 좁혀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했다. 아이패드 미니 신제품은 지난해 10월 내놓은 아이패드 미니와 ... ...
- 아이패드 미니2 레티나 디스플레이, 조금 더 무거워졌다동아일보 l2013.10.23
- A7 칩이 장착됐다. 기존 아이패드 미니는 1024X768 해상도였지만 아이패드 미니2는 레티나 디스플레이에 해상도를 2배로 올린 2048X1536이다. CPU 성능은 2배, 그래픽 성능은 4배 빨라졌으며 500만 화소 카메라와 1080P 동영상 녹화, 새로운 페이스타임 등 모든 기술이 아이패드 에어와 함께 적용됐다. 이번에 ... ...
- 차세대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상업화 길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3.10.18
- 만들 수 있다. 더군다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도 큰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 유해 중금속인 카드뮴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용화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양자점 ... ...
- ‘펜’이 ‘폰’을 살릴까… 스마트폰 신무기 경쟁동아일보 l2013.09.30
- 제조업체 3사가 모두 펜을 내장한 제품을 내놓게 됐다. 일본 소니 등 외국 업체들도 디스플레이에 펜을 활용해 필기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업계 관계자는 “전자펜은 디지털기기인 스마트폰에 연필로 메모하듯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감성적인 면을 ... ...
- 추억 속 영화배우와 만나서 대화할 수 있다면...동아사이언스 l2013.09.25
- 살펴보고, 가상이 현실 공간에서 구체화되는 새로운 기술 ‘자유공간 360도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와 응용 사례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홍현진 서울 잠일초 교사는 ‘자연속의 숫자’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27일 오후 ... ...
- 갤럭시노트3·갤럭시기어 출시···스마트폰 중 최고가 책정동아일보 l2013.09.25
- 노트 3'와 연동해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더욱 높여 주는 '갤럭시 기어'는 1.63형(41.4mm) 디스플레이와 1.9 메가 카메라를 탑재했다. 'S 보이스'를 활용해 음성으로 간편하게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어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과 알람 세팅, 날씨 확인을 음성으로 ... ...
- “국내 유일 카메라 광학기술 연구… 국가대표 자세로 일해요”동아일보 l2013.09.24
- 바쁜 모습이다. 일본 니콘은 제품의 출시가격을 낮췄고 후지필름은 의료용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부품 분야로 눈을 돌렸다. 파나소닉의 쓰가 가즈히로 최고경영자(CEO)도 카메라 사업을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카메라에 적용한 ... ...
- LG ‘뷰3’ 27일 출시… 3:4 황금비율 유지동아일보 l2013.09.24
- 너비는 전작과 같게 유지하면서 제품 테두리는 줄여 이전 제품보다 0.2인치 큰 5.2인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뷰3이 전작과 가장 차별화되는 것은 내장형 러버듐 펜과 반투명 소재를 활용한 전용 커버다. LG전자는 그동안 뷰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전용 러버듐 펜을 기기 내장형이 아닌 별도로 ... ...
- 삼성, 휘는 스마트폰 10월 세계 최초 출시동아일보 l2013.09.23
- 스마트폰을 내놓을 예정이다. 전자업계는 곡면 OLED TV 등 TV 시장에서 시작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경쟁이 내년부터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불붙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 [화제의 뉴스] - 김정은 버튼에 사라진 로드먼? - “北, 이설주 추문 덮으려 9명 공개처형” - 1 ...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동아사이언스 l2013.09.12
- 나노기술을 통한 신시장 창출의 맥이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술은 세계 최고라 자부할 만하다. 이미 20나노급 메모리 소자를 상용화할 만큼 기술 선진국이다. 그러나 메모리반도체와 같은 미세가공기술로 고부가가치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더이상 어렵다. 반도체도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