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뉴스
"
보기
"(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속가능한 행복을 위해 '엉뚱함'이 필요하다
2018.10.13
음악 들어
보기
, 수년간 매일 지나다녔지만 한 번도 들어가보지 않은 가게에 들어가
보기
등 매일의 일상에서 조금만 변화를 줘도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을 훨씬 새롭고 흥미롭게 느끼며 특별한 일 없이도 잘 새로운 행복을 추수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익숙한대로, 또는 유행에 따라 별 생각 없이 ... ...
“물리-화학-평화상에 여성… 2009년 5명 이후 두번째로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이후 55년 만이다. 워털루대 제공 도나: 네. BBC에서도 좋아하는 응용기술이 있냐고 물어
보기
에 안과수술 이야기를 했어요. 많은 사람이 실용적으로 이용해 애착이 가요. 마리: 아널드 교수를 포함한 화학상도 사람에게 유용한 단백질을 빠르고 쉽게 생산하는 방법으로 상을 받았어요. 신약을 만들 때 ... ...
놀이야? 체험으로 배우는 수학이야! '수와북 연구소'
수학동아
l
2018.10.08
방법을 알았으니 이제 수학동아 4월호를 보며 보로노이 빛상자를 만들어
보기
로 했습니다. 수직이등분선으로 나뉜 도형들의 이웃한 면이 모두 다른 색이 되도록 여러 가지 펜으로 색칠하기만 하면 됐지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에서 이웃한 도형끼리는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할 때 최소 몇 가지 ... ...
[이강운의 곤충記]소리로 짝을 찾고, 소리 때문에 죽는다. 땅강아지!
2018.10.05
긴꼬리쌕쌔기 고막 메뚜기 무리는 그나마 쉽게 만날 수 있는 곤충이지만 땅강아지는
보기
힘들어진 종이다. 가재같은 외형에 짧은 다리로 재빠르게 기어가는 모습은 메뚜기와는 전혀 달라 보이지만 앞날개 마찰판과 톱날 줄을 긁어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 귀뚜라미와 같으므로 여치아목에 속한다. ... ...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유력하다. 가스형 천체인 케플러-1625b 행성계에는 지구와 같은 이유로 위성이 생성됐다고
보기
어려워 그 생성원인을 다시금 추정해 봐야 한다.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의 키드 호지스 부편집장은 현지 언론과의 기자회견에서 “만약 이번에 발견된 천체가 추가적인 관측을 통해 케플러-1625b의 ... ...
박용근 교수 세계적 학술지에 "홀로그래피 현미경 활용방법" 리뷰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현미경이 세포에서 빛이 굴절되는 정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현미경으로
보기
어려운 어려운 투명한 세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홀로그래피 현미경은 10년 전만 해도 물리학과나 전자공학과 연구실에서 작동 원리 정도만 해석하는 연구가 주를 이뤘다. 최근에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21세기 면역학 키워드 '면역항암제' 노벨상까지 받다
2018.10.02
그 와중에 제약산업이 발전한 것은 덤으로 얻어진 성과이다. 20~30년이 걸렸지만
보기
에 따라서는 그리 긴 시간도 아니다. 한국의 과학자들에게도 충분한 관심과 지원을 쏟아주면서 20년을 기다려 달라고 말씀드린다면 지나친 요구일까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장기적 관점으로 기초 과학 지원 사업을 실시한 일본 정부의 정책이 본격적으로 빛을
보기
시작한 시기였다. 한국연구재단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이 노벨과학상 강국이 된 이유로 장기적인 연구시설투자와 신진연구자에게 안정적인 환경 제공, 유학과 해외 연구가 활발했던 일본의 ... ...
[별난 이름] 피자를 공평하게 나눠보자! '피자 정리'
수학동아
l
2018.09.26
아래쪽 그림에서 하늘색 부분의 넓이 합은 주황색 부분의 넓이 합과 같습니다. 언뜻
보기
에는 크기가 제각각이라 똑같이 나눠지지 않을 것 같지요? 1994년 래리 카터와 스탠 웨이건은 직소 퍼즐처럼 피자를 조각내는 ‘해체 퍼즐’ 방법으로 수식 없이 피자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해체 퍼즐은 같은 ... ...
[천문대장이 전하는 별별이야기] 올해 추석날엔 보름달이 뜨지 않는다?
과학동아천문대
l
2018.09.20
응용하면 평소에 느끼지 못한 멋진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평소 태양은 강한 빛 때문에
보기
가 쉽지 않지만 해 뜰 무렵 혹은 해 질 무렵에는 꽤 큰 태양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큰 흑점이 나타난 날이라면 맨 눈으로 흑점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지요. 이때 태양안경(태양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