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로젝트"(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1mm 비와의 전쟁…항공기·드론까지 동원된 첫 전방위 인공강우 실험현장 가보니 2021.12.10
- 했다. 미국기상연구대학연합(UCAR)에 따르면 전 세계 37개국에서 150개 이상의 인공강우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올해 한국에서는 이날을 비롯해 서해안과 경기 화성 궁평항, 충남 보령댐 등에서 지상 연소장비 실험 20회, 항공기 실험 21회가 실시됐다. 내년까지 실험을 이어가 3년간 쌓은 데이터를 ... ...
- [과학게시판]NST, 남북 과학협력 위한 국제콘퍼런스를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1.12.10
- 교류 증진을 통해 공동 발전을 도모키로 했다. 협약 세부내용으로 공동 산업수학 문제와 프로젝트 발굴 및 수행을 위한 상호 협력 추진, 상호간 교육·연구 인력 교류 및 연구 활동 지원, 지역사회 협력·공헌을 위한 산업수학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
- “온실가스 증가세 꺾지 않으면 금세기말 4도 오른다”…하루 비 800mm 쏟아지는 지역도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1.12.09
- 함께 역대 최대 규모의 지구시스템 모델 ‘대규모 앙상블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이같은 결론을 담은 논문을 9일 국제학술지 ‘지구시스템 역학’에 발표했다. 대규모 앙상블 시뮬레이션이란 기후 분야에서 초기 조건과 변수를 다양하게 설정해 기후변화 시뮬레이션을 100회 가량 ... ...
- '책만 읽는 도서관을 창의성 솟는 공간으로' 존홍 서울대 교수 미국건축가협회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1.12.09
- 도서관 ‘인콰이어리 허브(Inquiry Hub)’다. 홍 교수가 이끄는 디자인 연구실 ‘프로젝트 아키텍처’는 노후한 어린이 도서관을 창의적 학습과 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기존의 낮고 수평적인 공간 활용에서 벗어나 아이들이 다양한 높이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학습하고 영감을 얻을 수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 지금 LEO는 민간 우주정거장 건설붐동아사이언스 l2021.12.08
- ISS를 대체할 민간 우주정거장을 개발할 기업들을 추리는 프로젝트다. NASA는 지난 2일 CLD 프로젝트 1단계 계약업체로 블루 오리진과 노스럽그러먼, 나노랙스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나노랙스가 1억 6000만달러(약1884억원), 블루오리진은 1억3000만달러(약1531억원), 노스럽그러먼은 1억2560만달러(약147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첨단 기술 발굴해 적용하고 민간 투자 균형 찾아야 우주산업 혁신 가능해동아사이언스 l2021.12.07
- 발표에 나선 프랑수아 베고 총괄부사장은 “우주개발은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프로젝트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위한 지출을 의미하는 ‘카펙스(CAPEX)’와 운영비용을 의미하는 ‘오펙스(OPEX)’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며 “우주개발은 해보지 않은 영역에 대한 도전으로 기술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행성 문명화 시대, 국제 협력 통해 안전한 우주거주 기술 개발해야"동아사이언스 l2021.12.07
- 때”라며 “우리 이니셔티브는 미래 우주공간에서 필요한 인공물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크블로우 이사는 그중 로켓보다 큰 자가조립 거주지 연구를 소개했다. 그는 “오각형 또는 육각형 타일의 가장 자리에 강력한 자석을 심고 저궤도에 방출하면 타일이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달에서 자원자급·배달서비스도 나온다…국내기업들도 "우주탐사 준비 중"동아사이언스 l2021.12.06
- 애스트로보틱스의 우주 운송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미국이 유인 달 탐사 국제 공동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국을 확대하면서 각국 기업들과 연구기관이 속속 뛰어들고 있다. 기업들은 달로 장비나 기기를 배송하는 배송 서비스부터 달에서 다시 우주로 물건을 실어나르는 서비스까지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아르테미스 계획은 실질적 목적…보여주기식 아냐"동아사이언스 l2021.12.06
- 맡은 누주드 머랜시 NASA 탐사임무계획실 책임자를 대신해 미국이 추진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사업을 소개하고 미국이 50여년 만에 달로 돌아가는 이유를 차분히 소개했다. 조지 책임은 “머지않아 두 명의 우주비행사가 탄 유인 우주선 '오리온'을 달로 발사하고 달 남극에 ... ...
- 지구온난화로 남극 주변 해류 속도 빨라졌다동아사이언스 l2021.12.06
- 측정하기 위해 1999년부터 전 세계 바다에 부이를 띄우고 네트워크로 구축하는 아르고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지금까지 전 지구 해양에 최대 4000개의 부이가 설치됐으며 계속 해양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연구팀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남극순환류 표층의 속도를 나타내는 수송량은 1940~201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