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로봇공학 연구자에 의해서도 진지하게 검토될 정도다. 물론 3원칙을 준수할 수 있는 고도의 전자두뇌 제작은 아직 요원한 일이지만, 향후 로봇공학자들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원칙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아시모프의 작업은 'SF의 사회적 예측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아시모프의 ...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수 없었다. 2003년 5월 7일에 수성은 오후 2시 11.6분에 태양의 북쪽면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 관찰하기가 쉽다수성에 비해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통과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우리나라에서는 1874년(고종13년)12월 9일에 이어 1백30년만인 2004년 6월 8일에 이 모습을 다시 볼 수 있다 ...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대칭적인 구도 속에서 생동감 있게 표현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칭과 고도로 조절된 질서를 가지고 있는 ‘최후의 만찬’은 누구라도 인정할 만큼 자기충족적인 구도를 가지고 있다.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개방된 차원은 정면을 향한 것인데, 이 정면의 차원에 의해 최후의 만찬은 ...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타원궤도를 운행하는 것이지만 겉보기 운동은 태양이 운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태양의 고도가 변하는 것과 타원운동에 따른 부등속 운동으로 실제 하루의 길이는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다. 1월1일은 하루가 24시간 29초이고, 10월 1일은 23시간 59분 41초이다. 이런 차이를 없애기 위해 현대에는 ‘태양이 ...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과학동아 l2000년 01호
- OSC)에서 제작한 토러스로켓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현재 아리랑 1호는 고도 6백85km에서 98분에 한번씩 지구를 돌면서 자세잡기에 한참이다. 아리랑 1호는 다목적실용위성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지구관측위성. 여기에는 사연이 있다. 1994년 위성 개발을 시작할 때 한반도 전역을 내려다볼 수 있는 ... ...
- 멋진 신세계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서부 유럽지구에 속하는 런던이다. 정부는 '공유, 균등, 안정'이라는 세가지 표어 아래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을 이용해 사람들을 통치하고 있다. 신세계는 부모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나는 자연출생이 없어진지 오래이며 미리 정해진 계획에 의해 공장에서 부화될 따름이다. 태아들은 출생 전에 ...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것이다. 좀더 오래도록 관찰하고 눈썰미가 매운 사람들은 행성들의 밝기와 색깔만 보고도 금방 이들을 구별할 수 있었다. 화성과 수성은 작고 붉은 기운이 돌고, 금성과 목성은 조금 크고 밝다. 그리고 수성과 금성은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보이며 깊은 밤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 ...
-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때문에 오래 전부터 업계의 관심사가 돼왔다. 현재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고도의 연비향상 기술개발을 21세기 자동차산업의 최우선 역점과제로 삼고 있다. 3리터카가 이외에도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압축천연가스(CNG)자동차 등 미래형 자동차를 위한 신기술 ...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과학동아 l1999년 12호
- 키의 약 0.3배가 되고, 동지 근처 겨울철 정오 때는 약 1.8배가 된다. 겨울철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져 여름철 그림자 길이의 6배나 된다. 친구 위에서 태양이 움직이는 경로인 황도를 따라 12개의 별자리를 배치했다. 각 달마다 대표적인 별자리로 삼아 황도를 따라 12개의 별자리를 배치했다. 각 ...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있다. 목동자리 1등성 아크투루스는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천정 부근의 별이므로 고도가 너무 높아 달과 함께 나온다고 보기는 힘들다. 때문에 이 별은 행성이었을 가능성이 크며 그 중에서 금성이 유력하다. 화성이나 목성 같은 외행성도 가능성이 있지만, 가을철 서쪽 하늘 지평선 근처에 있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