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품
상품
물체
제품
판매품
생산품
일
d라이브러리
"
물건
"(으)로 총 1,91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에서 아이디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사람은 장롱 안에 박힌 기다란 봉에 이불을 그냥 걸어두자. “핸드백 안에서 필요한
물건
을 찾으려면 어두워서 한참을 뒤적여야 하잖아. 그래서 핸드백 안에 작은 발광다이오드 조명을 달면 어떨까 생각했어.”5월 6일. 따뜻한 봄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오후 5시. 숙명여대 학생회관 5층 모퉁이에 ... ...
“아씨오~!”
물건
찾아 주는 마법의 고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거죠. 게다가 고글을 쓰고 보는 장면을 녹화할 수 있고 나중에 이 영상을 되돌려 보며
물건
이 어디있는지 찾아 낼 수 있다고 해요. 앞으로 이 기술은 로봇이나, 많은 자료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찾는 일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기대되고 있답니다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런 경우를 가리켜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고 불러야 할 듯. 3톤이나 되는 무거운
물건
을 실어도 종이상자가 끄떡없는 이유는 바로 골판지가 십자로 교체되는 구조 때문이다.종이의 무한도전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나무를 잘라 펄프를 제조해 종이를 만드는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Shop Lab)은 이름처럼 미래의 매장 조명을 연구하는 곳이다. 앞으로 쇼핑은 단순히
물건
을 사는 행위가 아니다. 사람들은 매장에서 핸드백만 사는 것이 아니라 핸드백 주변의 ‘분위기’까지 함께 산다. 이 분위기를 결정하는 것이 조명이다. 간판이 매장의 얼굴이라면 조명은 매장의 표정인 셈.숍랩의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또 전자태그에 정보를 새로 넣어 얼마든지 다시 사용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 생산된
물건
인지 등 많은 정보를 담거나 수정할 수 있어요. 게다가 전자태그는 스티커 형, 꼬리표 형등 형태가 다양해 유물에 맞춰 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조와 변조가 불가능해 유물을 지키는 안전장치도 된답니다 ... ...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때도 상체를 숙이면 디스크가 받는 압력이 약 50% 증가한다. 상체를 앞으로 기울인 뒤
물건
을 들면 바로 섰을 때보다 부담이 4배 이상 증가한다. 척추는 앉든 서든 반듯한 자세보다는 구부린 자세가 ‘독’인 셈이다.평소 바르게 서고 바르게 앉는 습관을 들여야 척추를 보호할 수 있다. 공부하려고 ... ...
지구 속을 파고드는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지진과 화산활동이 일어난다. 지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판들은 마치 컨베이어 벨트 위의
물건
처럼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지금까지 어떻게 지표의 판이 두께가 2900km에 이르는 맨틀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는 논란거리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지각판의 단단함, 탄성 등을 변화시키면서 ...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힘을 들이지 않고 무거운 짐을 옮길 수 있다.입는 로봇은 지형이 험준해도 걷거나
물건
을 옮기는 데 유리하다. 군인, 소방대원, 응급요원을 도와 힘든 작업을 하면서도 근육의 피로는 줄여준다. 나아가 재활이나 물리 치료에 사용되면 천천히 걸을 수 있는 환자는 더 빠르고 더 효과적으로 걸을 수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두 남자6살이 되도록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닥치는 대로 주위
물건
을 집어던지는 야수 같은 아이가 있었다. 태어난 지 19개월 되던 때 열병을 앓으며 눈이 멀고 귀가 먹어 벙어리가 됐기 때문이다. 이 아이는 앤 설리번 선생을 만나 교육을 받은 끝에 하버드대에 입학해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미국의 생명과학자 챈스와 미드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굶주린 쥐를 먹이와 이상한
물건
들이 가득 차 있는 미궁 속을 달리도록 실험을 했을 때, 처음에는 쥐들이 음식 쪽으로 발길을 움직였으나 잠시 뒤에는 음식을 포기하고 미궁을 탐색했다고 한다. 즉 호기심이 식욕을 누를 정도로 크다는 말이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