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기입
d라이브러리
"
작성
"(으)로 총 1,672건 검색되었습니다.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사태 : 한글은 2.0 이전 버전과 2.0 이후 버전의 차이가 크다. 2.0 이전에는 조금 긴 문서를
작성
했을 경우 '메모리 부족합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이럴때는 저장을 한뒤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해제한 후 다시 을 실행시켜 파일을 두부분으로 ... ...
코비의 우주배경복사 온도차이 재확인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관측결과는 코비의 것과 일치 했다. MIT의 메이어, 프린스턴의 페이지와 강가, NASA의 쳉이
작성
한 분포도는 변동의 크기와 전체 패턴이 코비의 것과 똑같았다. 메이어는 "스무트가 크게 기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무트는 코비 팀의 리더.기구 팀은 1991년에 이미 분포변동을 발견했다. 그러나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yy) 지정된 날짜 이후에
작성
한 파일만을 백업한다./T : (hh : mm : ss) 지정하는 시각 이후에
작성
된 파일만을 백업 한다. 날짜지정을 한 뒤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M 이미 백업된 파일을 제외하고 백업이 안된 파일만 자동으로 백업한다. 백업 프로그램은 자신이 백업한 파일에 대해서는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세우고 연구에 매달리는 '게놈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인체 게놈의 지도를
작성
하고 염색체가 지니고 있는 화학암호를 완전히 풀어낸다는 이 야심적인 계획이 완성만 된다면 각종 질병 치료에서부터 유전자 조작을 통한 인간개조까지 가능해집니다. 말하자면 인간이 '조물주'가 될 수도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임당의 매력으로 1.x판 시절부터 일찌감치 자리잡아온 그래프
작성
기능은 이미 외국의 윈도용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상용프로그램 못지 않은 강한 성능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기능이다.어떤 종류의 워드프로세서이건 간단한 정수계산을 할 수 있는 계산기와 만년달력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열어놓고 작업해야 할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었다. 문서를
작성
할 때 하나의 문서를
작성
하는 것, 즉 하나의 파일을 열어놓고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지만 몇개의 파일에 흩어져 있는 내용을 한 군데로 모으는 작업을 할 경우 하나의 파일만 열어서는 작업을 할 수 없다. 즉 여러개의 파일들을 ... ...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활용함으로써 논문자체에도 엄청난 변화가 수반됐다. 과거에는 논문이 평면(종이)위에
작성
돼 극히 단조로웠는데 컴퓨터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논문에는 애니메이션과 시뮬레이션기법이 도입되기 때문에 사진 자료 도표처리가 돋보인다. 심지어는 논문에서 음악소리가 들리기까지 한다. 입체감도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고 했던가. 만약 이런 식으로 파일이름이 중복되어 없어진 파일이 당신이 몇년에 걸쳐
작성
한 학위논문이라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디렉토리가 없다면 하는 가정을 역으로 뒤집으면 디렉토리가 있어서 편리한 점이 된다.1)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수적 제한을 극복 할 수 있다.2) 비슷한 ... ...
뼈·관절수술의 충실한 로봇 조수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뚫어주는 로봇의 팔도 만들었다. 아울러 센서와 수술작업을 총괄할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했다.수술이 시작되면 의사는 로보닥이 환자의 손상된 뼈의 상태를 소상히 볼 수 있도록 해준다. CT스캐너를 작동시켜 뼈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마우스(전자 포인터)를 이용해 구멍뚫을 뼈의 ... ...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어떤 정보를 영구적으로 보존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난다. 이를테면 프로그램을
작성
했을 때라든지, 컴퓨터를 이용해 자료를 입력했을때 이 내용이 보존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래서 메모리의 전자적 기억방식이 갖는 한시성(限時性)을 극복하기 위해 자기적 기록방식이 연구되었다. 사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