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검출한 걸까?빛으로 길이를 재는 직각자, LIGO중력파를 검출한 장치는 미국 남동부의 도시 리빙스턴과 북서부의 핸퍼드에 있는 ‘라이고(LIGO)’예요. 라이고는 4km 길이의 터널 두 개가 직각으로 놓여 있는 모습으로, 빛을 이용해서 미세한 길이의 변화까지 측정할 수 있어요.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비유했다. 여기서 도로는 하나의 처리 장치(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아이폰은 하나의 처리 장치로 앱을 실행하기 때문에 하나의 앱이 켜져 있으면 다른 앱은 실행을 멈춘다. 스파이앱이 깔려 있더라도 사용자가 다른 앱을 이용하는 동안은 스파이앱이 실행될 수 없다. 도청을 할래야 할 수가 없는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없이 많다. 예컨대 인공 망막이나 인공 와우 같은 외부 자극을 몸으로 전달해주는 장치에는 신경에 전기 신호를 출력해주는 신체 이식용 전극이 필수인데, 작고 세밀하게 만드는 기술이 아직 부족하다. 현재 인공 와우는 1만5000개의 유모세포(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귓속 세포)를 겨우 20여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M&M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답니다.연구팀이 M&M이 가득 들어 있는 그릇을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관찰한 결과, 초코볼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 71%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코볼이 길쭉한 타원형이라면 최대 74%까지 공간을 채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든 장과 간, 심장 등의 생체기관(오가노이드) 사이에 배양액이 흐르도록 해주는 장치를 고안했다. 마치 인체에서 각 기관이 혈액을 매개체로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실험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예컨대 유효성과 독성을 확인하려는 화학물질을 주입한 뒤 장관(intestinal tract)이 얼마나 흡수하는지를 알 ... ...
-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들어 봅시다.오늘의 미션인류 최초의 게임은 바로 1958년 오실로스코프에 그래픽 표시 장치를 이용해 만든 ‘테니스 포 투’입니다. 연구소 방문객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만들어졌지요. 1972년에는 ‘테니스 포 투’에서 영감을 얻은 1세대 비디오 게임 ‘퐁’이 출시됐습니다. 탁구를 본떠 만든 ...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팀은 또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쥐의 몸에 태양전지와 심박조율기를 결합한 장치를 이식해 4주 동안 시험했다. 특별한 면역 반응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이 교수는 “5~8년에 한 번씩 몸에 넣은 심박조율기의 전지를 교체해야하는 환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를 함께 실어 동물이 가진 생체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만들어 장치에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이에로풀로스 교수팀은 미생물연료전지를 더 최적화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현재 시스템의 최대 효율은 96% 정도. 이보다 높은 효율이 지속적으로 나와야만 실제 응용이 가능하다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며 “CNU세일-1은 3축 안정화 방식을 주로 이용하고, 보조 제어 장치로 자기 토커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독자가 이 기사를 읽을 때 쯤에는 CNU세일-1이 한국에 없다. 어쩌다 보니 ‘CNU세일-1을 보는 마지막 외부인’이 된 기자가 찾아가고 이틀 뒤, CNU세일-1은 최종 기술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눈에 넣을 정도로 작게 만드는 건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인공망막의 여러 장치를 신체 내부와 외부로 나눠서 설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다양한 인공망막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르구스2’예요. 아르구스2는 카메라가 찍은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바꾼 뒤, 망막에 이식한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