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례
관습
인습
전승
고전
세습
전통의례
d라이브러리
"
전통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석기에서 공통성이 발견되는 점이 이런 추측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시기에 같은 문화
전통
을 지닌 후기 구석기문화 담당자들이 동북아시아 일대에 작은 집단을 이루며 널리 펴져 살았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슬기사람은 이 지역에서 먼저 살고 있던 호모 하이델베르겐스(Homo heidelbergensis) 단계의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민족의
전통
적인 종교 상징물인 솟대,장승,서낭당 등이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비슷한 형태로 발견된다.이들이 제작된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다만 고대에 한반도와 북아시아에서 동일한 무속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으리라 짐작한다.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살아온 세계에 익숙해져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싱징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기계적 공정’의 위력을 한껏 발휘한 탑을 세울 수 있었다.
전통
의 도시인 파리를 일약 문명의 도시, 현대성의 승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도시로 만든 에펠탑은 기본적으로 수직적으로 상승하는 대칭구조에 의해 축조됐다. 네 개의 아치에 의해 만들어진 구조가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얻어내면 미래의 식량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한국의 경우
전통
적으로 발효산업 분야에 많은 노하우가 축적돼 있다. 그런데 현재 발효 미생물을 대량으로 기르기 위해서는 당분과 같은 탄소에너지가 적지 않게 필요하다. 만일 탄소에너지 없이도 왕성하게 증식하는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그림2).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절멸됐거나 살아있는 인류만을 인류과로 분류하는
전통
을 따르고 있다.유인원과에 속하는 영장류는 각각 작은 유인원과 큰 유인원으로 구분된다. 유인원 중 인류와 가장 가까운 영장류는 큰 유인원으로, 침팬지(Pan troglodytes)와 피그미침팬지(P. paniscus), 오랑우탄(P.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방법을 이용해 완전히 풀어내기도 했다.배열마다 숨겨진 규칙 있어이지원씨는
전통
적인 마법진을 풀어낼 때 다음과 같은 몇가지 원칙을 적용했다고 한다. ① 배열을 이루는 기본 숫자단위가 무엇인가?(홀수 또는 짝수로 끝나는가) ② 배열상의 대칭선 또는 대칭점이 존재하는가? ③ 보수관계(첫수와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골라낸 후 여기에 담긴 염기의 서열을 알아내면 궁극적으로 DNA의 유전정보를 알 수 있다.
전통
적인 방법으로 이 실험을 수행할 경우 1개의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구조를 알아내는데 빨라야 하루가 걸린다. 1명이 간세포의 유전자를 모두 조사한다면 1만일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말이다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한대형의 판단 중지 상태를 고려한 처사다.한대지방에서는 식물성 식품이 거의 없다. 또
전통
적으로 유목이나 수렵으로 얻어진 육류 중심의 음식만을 그때그때 잡아서 먹어왔다. 자연 자체가 저장고 역할을 하게 돼 특별한 방법으로 음식물을 저장할 필요가 없고, 그럴 수도 없다. 따라서 채식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때문에 다른 단위보다 아무래도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느껴진다.한국인의 경우
전통
적으로 높이나 크기를 표현할 때 자신의 신체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눈을 수평기준으로 잡고, 위쪽에 있으면 ‘높다’ 아래 있으면 ‘낮다’고 말한다. 또 어깨넓이를 기준으로 이보다 크면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분리해서 그 효능과 안전성, 그리고 부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해서 사용한다는 점에서
전통
적인 천연 의약품과 구별된다.그런 의미에서 최초의 현대 의약품은 1806년 독일의 제르튀르너가 아편으로부터 분리시킨 모르핀이다. 모르핀은 지금까지도 말기의 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우수한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