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 등 산성 토양에 저항성이 약한 나무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필자
가 금년 7월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하고 있는 북한산성의 선봉암-중성문-흥국사지 코스에서 식생조사를 할 때 관찰된, 나이가 20-30년된 서어나무 10여주가 모두 죽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기오염물질과 ... ...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전자파를 방사함으로써 유도탄을 디코이 쪽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필자
는 걸프전을 정리하면서 연합군이 일방적으로 압승하게 된 이유는 이라크군의 무기체계가 적거나 성능이 뒤떨어져서가 아니라 연합군측의 종합적인 전자전활동이 대량의 항공기공격 그리고 지상작전을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뒤흔들었고 우리의 인식은 2000년 넘는 깊은 잠에서 깨어나게 된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
는 상대성이론의 참맛을 독자들이 되도록 쉽게 음미케 해 상대성이론이 어떻게 태어났는가에 대한 그의 탄생배경과 주내용을 간단히 요약해서 설명하겠다.관성계와 가속계상대성이론에는 두 가지가 있다.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단순해 실제와 거리가 멀었다. 따라서 혼돈 응답특성에 대한 설명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필자
의 연구실에서도 혼돈뉴런보드를 제작해 혼돈현상을 하드웨어적으로 관찰한 바 있다. 여러가지 특성을 고려한 2개의 CMOS와 피드백 저항을 이용해 만든 이 보드는 자동제어 난수발생 다치논리 및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물인지 생각해보자.맛있는 물의 조건이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으나
필자
의 생각으로 맛있다고 생각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첫째, 광물질에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의 전체 농도가 1백PPM 정도일 때 최적의 맛을 낸다.둘째, 경도는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의 합계가 50PPM ... ...
청계천 잡동사니 더미 속에서 찾은 '보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계곡보다 더 맑은 물이 흐르고 있었다.4·19 당시 파리 남대학에서 연구에 골몰하던
필자
는 학교(고려대)의 부름으로 2년 반만에 그곳에서의 연구를 중단하고 귀국해야만 했다. 당시 이곳의 연구 환경은 불모지와 다름없어서 누구로부터의 후원도, 조언도 기대할 형편이 못됐다.사정이 이러할 때 내 ... ...
너무 많이 아는 것?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한다.정보를 처리하는 두번째 방법은 초(超)분자 화학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분야에 관한
필자
의 지식은 그 기술에서 사용하는 박막 필름의 두께만큼 밖게 되지 않는다. 그러나 초박필름 위에 있는 자기 조립자들의 화학적 복합물은 아주 작고도 효율적인 스위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술은 ... ...
한국 생물학의 출발점을 되돌아보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된 것도 조선생님으로부터 게류에 관한 중요한 문헌을 물려받은 것과 관계가 깊다.
필자
는 한국에서 1946년 9월 사상 처음으로 창설된 서울대 생물학과에 입학해 졸업한 맨 첫 졸업생 2명 중 한 사람이었다. 우리 두사람은 1949년 졸업하자 마자 대구사범대학(지금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에 새로 생긴 ... ...
2. 윈도우 시대의 글꼴 윤곽선 폰트 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구별하지 않고 한가지 데이터를 양쪽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필자
는 8년 전 애플사의 리자(LISA)라는 컴퓨터를 처음 접하고 마우스라는 신기한 장치로 작동하는 그림 사용자 환경에 감탄을 금치 못했던 적이 있다. 그중에서도 화면에 여러가지 글꼴이 다양한 크기로 표시되고 그대로 ... ...
화산·얼음·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충분할 것이다. 달리 말해서 온실 효과가 억제된다 하더라도 뉴욕에 사는
필자
와 우리 모두는 남극의 화산 때문에 익사할 수 있다.어쩌면 남극의 화산은 폭발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안심할 수 없는 것은 최근 들어 활화산의 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태평양에 떠 있는 해양조사선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