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염병 2기 01장- 코로나포스팅 l20211121
- 평범하다고 해야하나 음 난 내가 평범하길 바란다. 지금 이순간에 제일 외로운건 나일것 같다. 아빠는 오래전에 돌아가셨고 엄마는 연구원이라 퇴근을 아주 늦게 한다. 아주 늦게. 엄마 얼굴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일주일에 5분이다. 말도 안되게 들리겠지만 진짜다. 오직 수요일에만 엄마가 10분 늦게 출근하신다. 엄마가 날 깨우다 보면 5분 ...
- 우리에게 친근한 새가 공룡일 수도 있다고?!기사 l20211120
- 분류하는 것이 맞을지, 변온동물이 맞을지, 그리고 짝짓기, 양육방법 등이 새와 비슷하지 않을까 등등 많은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를 진행합니다. 공룡학자들은 이 시대를 공룡 르네상스 시대라고 부르기 시작하고 이 때 새와 공룡의 공통점이 더 발견되지요. 둘 다 이족보행을 하고 기낭에 공기를 넣을 수 있는 점, 그리고 손목뼈를 뒤로 젖칠 수 있다는 점 ...
- 감기에 좋은 과일들을 알아보자!기사 l20211119
- 풍부한 귤, 오렌지 자몽 등의 과일인데요. 저도 예전에 귤을 먹고 몸이 좋아진 적이 있답니다. 그리고 비타민C가 감기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하는데요. 핀란드 대학교의 한 박사가 9,649명의 감기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했는데 그 중에 어른은 13%, 아이는 8%가 감기에 걸린 기간이 줄었다고 합니다~! 저도 이제 그 과일들을 먹고 어서 ...
- [쥬라기 월드-8] 킬러 도마뱀이여, 아크로칸토사우루스기사 l20211119
- 등이 있습니다.) 스피노사우루스에게는 미치지 못해도, 잘하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정도는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 분석 결과 아크로칸토사우루스는 용각류 고기를 가장 좋아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같은 시대에는 사우로포세이돈이 살았지만 더 쉬운 먹잇감인 팔룩시사우루스나 테논토사우루스도 있었으므로 그냥 배고프면 뭐든지 닥치는 대로 잡아먹 ...
- 오늘 저녁 붉은 달이 뜬다? ‘부분월식’!기사 l20211119
- 있을지도 몰라요! 내년도 기다려 지네요 ㅎㅎ. 출처 : "저녁 6시 우주쇼"…금세기 가장 긴 월식 - 전자신문 (etnews.com) 한국천문연구원은 이날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오후 4시18분 24초에 시작되지만 달이 뜨는 오후 5시16분 이후라야 관측이 가능하다. 달이 뜨고 나면 동쪽 지평선 근처 시야가 트인 곳에서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9기 온라인 수료식공지사항 l20211119
- 초대손님으로 모십니다~! 장이권 탐사대장님과 어과동 편집장님, 지사탐 매니저, 그리고 지사탐의 17종 생물종을 연구하는 멋진 연구원님들 모두 온라인 수료식에 함께할 예정이에요^^ 수료식에서 즐길 수 있는 볼거리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한 해 동안 모인 탐사기록이 어마무시하다는 소문이~? ...
- 제3회 환경학술포럼- 시민과학풀씨 세션 참석기기사 l20211117
- 시민조사단의 사례 를 주제로 발표한 분들이 대상을 받았습니다. 생물다양성 세션의 박정우 연구자님은 지구사랑탐사대 조류 연구원님이기도 하셔서 수상 소식이 더욱 반가웠습니다. 다시한번 정말 축하드립니다!!! 이렇게 올해의 제3회 환경학술포럼이 종료되었습니다. 제가 작년 2회 환경학술포럼에 참석해 작성한 기사도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 ...
-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지금까지 생존했을까?기사 l20211116
- 이빨과 발톱을 사용하면서 독을 잃은 반면, 오리너구리는 유일하게 독을 가진 포유류 입니다. 2010년 시드니 대학의 카밀라 히팅턴 연구원은 오리너구리의 독 성분과 관련 유전자가 파충류의 것과 꽤나 비슷하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를 통해 오리너구리의 독 역시 과거의 파충류의 조상에게 물려받은 형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이들의 독에도 오랜 ...
- 좀비 아포칼립스 생존기 4화포스팅 l20211116
- 인정할게. 나 혼자 살겠다는 건 좀 이기적이긴 했어. 그리고 갑자기 좀비가 쳐들어왔으니 백신이 부서질 만도 하...- -지 않잖아!! 연구소 보안이 그렇게 허술했나? 아님 좀비들이 엄청 강력했나? 백신이 부서지는게 말이 돼? 남은 생존자들에게 유일한 희망이 될 백신이?! 내가 이렇게 백신에 집착하는 이유는 백신이 없으면... 살 ...
- [쥬라기 월드-7] 날렵한 모습은 바로 그곳에! 데이노니쿠스기사 l20211116
- 첫 번째로 공룡이 새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을 주장한 사람은 바로 존 H. 오스트롬입니다. 당시 오스트롬은 로버트 T. 바커와 함께 연구를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오스트롬은 매우 신기한 화석을 발견하게 됩니다. 바로 집단으로 사냥하다 죽은 듯한 소형 공룡의 화석이였습니다. 이는 당시 공룡의 페러다임에 완전히 맞지 않았습니다.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