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자료
관련데이타
뉴스
"
관련데이터
"(으)로 총 3,3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2021 미래연구정보포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2일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오픈 사이언스와 미래데이터 기술’이라는 주제로 2021 미래연구정보포럼을 개최했다. KISTI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일 대전 유성 오노마 호텔에서 ‘오픈 사이언스와 미래데이터 기술’이라는 주제로 2021 미래연구정 ... ...
[과학게시판]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대통령상 시상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에서 학생부 대통령상을 수상한 'I Am Sorry but I love you'팀이 용홍택 과기정통부 제1차관(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67회 전국과학전람회 시상식이 1일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개최됐다고 밝혔다. ... ...
"오미크론 변이 확산은 불평등이 낳은 결과"…과학자들 "아프리카 고립시켜선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영국에서 백신 접종을 기다리는 사람들. EPA/연합뉴스 제공 미국을 비롯한 경제 선진국들이 자국민 접종을 위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을 싹쓸이한 것이 오미크론 변이 확산을 불렀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 보고된 남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은 백 ... ...
[화보+]미생 과학자들의 ‘망한 실험’
과학동아
l
2021.11.27
생명과학 연구원들의 외장 하드를 탈탈 털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대학원 자치회가 주최하는 ‘망한 실험 사진전’이다. 올해로 2회째를 맞았다. 연구원들은 뜻하지 않은 곰팡이가 자라 꽃을 피우고, 예상치 못한 포식자에게 표본을 뺏기는 등 실패의 순간을 사진전을 통해 공개했다. 실패의 ... ...
'올해의 최석정상'에 수학 발전 기여한 송홍엽·김재경·임선희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1.26
(왼쪽부터)송홍엽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임선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가 수학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하는 '올해의 최석정상'을 수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올해 처음 열린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로 그간 수학 분야에서 돋보이는 ... ...
KT SAT "빅데이터로 위성통신 품질관리"
연합뉴스
l
2021.11.25
위성통신사업자 KT SAT는 위성 서비스 품질 향상과 고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장애탐지 시스템(ISAS·Interference Detector using Satguard and Splunk)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수집한 위성 신호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간섭요인을 추적함으로써 고품질의 통신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미군은 왜 AR과 디지털 트윈을 도입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마이크로소프트의 증강현실(AR) 고글 '홀로렌즈2'를 착용한 미국 육군의 모습. 마이크로소프트 제공 미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지난 2010년 미래 군인들의 전투환경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은 대회를 열고 결과를 발표했다. 방탄 헬멧에는 360도 카메라를 달고 적외선 센서를 단 상태에 ... ...
'초' 재정의 위해 슈퍼컴·전파망원경 등 국내 첨단장비 총동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김휘동 표준연 책임연구원이 이터븀 광시계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표준연 제공 우주와 시공간을 해석하는 국내 첨단 장비와 기술이 모여 세계 최초로 시공간 측정도 100배 향상을 위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4일 대전 유성 천문연에서 국토지리정보원과 KAIST, 한국과학 ... ...
[과기원은 지금] 김일두 KAIST 교수팀, 맥신·물 이용 전기발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2차원 전도성 나노물질인 맥신 소재와 30μL(마이크로리터·1μL는 100만분의 1L) 정도의 극소량 물로 전기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KAIST는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2차원 전도성 나노물질인 맥신 소재와 30μL(마이크로리터·1μL는 100만분의 1L ... ...
[과학게시판] 차기 미 물리학회장 김영기 미국 시카고대 교수 특별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김영기 미국 시카고대 교수 특별강연이 29일 오후 3시 개최된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9일 오후 3시 김영기 미국 시카고대 교수 특별강연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김 교수는 한국인 최초 미국 물리학회 회장단에 선출됐으며 2022년 부회장, 2023년 차기 회장, 2024년 회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