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뉴스
"
막
"(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은 폭격만 하지 않는다…新저널리즘 신무기로 등장
동아일보
l
2014.07.09
써먹을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배워서라도 가르쳐야 하지요. 드론을 이용한 촬영은 이제
막
시작된 신기술입니다. 상업화의 전망도 밝으니 사진학과 교수로서 드론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고 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대학은 지금 거센 변화의 요구에 직면해 있다. 2018년도가 되면 대학정원이 ... ...
세계적 과학자의 삶을 통해 과학을 본다
과학동아
l
2014.06.29
컬처룩 제공 ◆블랙홀은 과연 블랙인가(김충섭 著, 컬처룩 刊) 인기리에
막
을 내린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에서는 주인공이 ‘웜홀’을 통해 고향 별로 돌아갔다는 내용이 나온다. 웜홀은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잇는 가상의 통로이다. 드라마처럼 웜홀과 화이트홀은 아직까지 허구의 ... ...
[단독] 8월부터 한국 우주인은 없다
과학동아
l
2014.06.26
차원에서 진행되는 유인 우주개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 박사가 퇴사하면 마지
막
남은 홍보 효과마저 사라진다. 한편 이 박사와 함께 예비우주인으로 선정된 고산 씨(38)도 2011년 항우연을 퇴사한 뒤 창업 관련 벤처기업인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를 맡아 창업교육을 하다 최근 3D 프린팅 ... ...
헉! N극과 S극이
막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6.24
국내 연구진이 자기장 없이 순전히 전기장에 의해 N극과 S극이 바뀌는 자석을 발견했다. 새로운 물리학적 현상을 규명해 낸 것으로 차세대 컴퓨터 메모리 등을 개발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순칠 KAIST 물리학과 교수팀, 김기훈 서울대 물리천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기장만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브롬의 작용을 방해해 설필리민 결합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 실제로 골초들은 기저
막
이 변형돼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 신장질환으로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는 경우도 브롬 결핍이 되기 쉽다. 참고로 브롬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고 신장에서 배출된다. 체내 브롬의 양은 3ppm 수준으로 평범한 ... ...
일벌레 '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세
막
단백질 중 가장 구조가 간단한 AmtB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PG 분자의 꼬리 부분이 이
막
단백질의 소수성 부분에 결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 결과 단백질의 소수성 부분이 PG 분자의 인산 부분(친수성)으로 바뀌고, 이로 인해 단백질의 구조 변화가 일어난다. 사이언스 제공 길 양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모두 철회
과학동아
l
2014.06.04
몸에 받았던 ‘STAP(자극야기 다능성 획득) 세포’가 결국 4개월 여 만에 한 편의 스캔들로
막
을 내리게 될 전망이다. STAP 세포 논문의 제1저자인 오보카타 하루코(小保方晴子)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주임이 STAP 세포의 제작법이 담긴 ‘네이처’ 논문을 자진 철회하는 데 동의했다고 ... ...
이것 개발했더니 보톡스 대체물질까지?
과학동아
l
2014.06.02
해결했다. 이 형질전환 효모 균주로부터 세포 소기관인 액포를 분리·정제한 뒤 액포간
막
융합을 시험관에서 구현하는데 성공한 것. 이 경우 효모에서 매번 동일한 스네어 단백질을 가진 액포를 분리·정제할 수 있어 합성 리포좀의 불완전한 재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대량 배양이 ... ...
3D 얼굴 모델링, 그래핀 분리
막
"기초 연구가 돈 되네"
과학동아
l
2014.05.28
사실도 세계 최초로 규명해 ‘사이언스’에 실리기도 했다. 37조 원 규모의 세계 분리
막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 기술은 현재 상용화를 위해 벤처 창업을 앞두고 있다. ‘질량분석 의료기술 융합연구단’의 지원 속에 민간에서 개발한 자궁경부암 진단제 ‘파필로타이퍼’도 눈길을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연구진이 이 렌즈를 통해 160n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두 선을 관찰한 결과 각각의 선이
막
대 모양으로 선명하게 구분돼 잘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탄소나노튜브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