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뉴스
"
문제
"(으)로 총 14,4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정갈등 4개월…KAIST·포스텍 등 과기의전원 설립 향방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기본적인 책임인 환자 진료가 위기에 처한 현상황에서 의사과학자 양성 논의는 부수적인
문제
"라며 "현재 KAIST는 설립 추진을 위한 대외적인 활동은 일절 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이 과정에서 트랜지스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하부층 회로에 열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
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열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공정기술 연구를 수행해 선택적으로 열처리가 가능한 '나노초 펄스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개발했다. 355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의 짧은 파장의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인공지능(AI)의 발전 등으로 데이터 생산과 처리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데이터 저장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강유전체 ... 연구를 통해 저전력·고속·대용량 메모리를 개발하고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의 전력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 ...
선박용 암모니아 엔진 연소 기술 국내 최초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통해 열효율 극대화했다. 출력 성능 향상은 물론 배출물을 동시에 줄여 불완전 연소의
문제
를 해결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박철웅 책임연구원은 “선박용 MW급 LNG-암모니아 혼소 엔진 연소 기술은 선박용 엔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규제를 만족하고 미래 조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가능한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스 센서의 소비전력 및 집적화
문제
를 해결할 수 있어 향후 실내조명 및 기기와의 결합을 통한 가스 센서의 상용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6월호 속표지 논문으로 게재될 ... ...
슈퍼박테리아 정복에 AI가 도움줄까...항생제 후보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아미노산 단위체인 펩타이드에서 천연 항균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운 것이다.
문제
는 미생물에서 유래한 천연 펩타이드 중에서도 어떤 펩타이드가 항균 기능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수 만개의 펩타이드가 수많은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갖는 효과를 사람이 일일이 ... ...
수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썼다. 신 교수는 "랭글랜즈 프로그램을 증명한다고 해서 수학의 모든, 또는 대부분의
문제
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굉장히 강력한 기반 위에 서서 수학을 바라 볼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의협 '집단휴진' 예고…서울대 교수회, 서울대병원 휴진 만류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6일 의료진들이 서울대병원에서 원내 이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대한의사협회(의협)가 9일 집단 휴진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도 집단 휴 ... 막대한 사교육비 증가, 의대 내 양극화와 서열화, 지역대학 소멸 등 심각한 교육 사회
문제
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
명망 있는 과학상 수상자들이 상 명칭 변경 요청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레오니드 미르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교수 등 3명은 상의 이름에 포함된 ‘새클러’를
문제
삼았다. 미국에서만 수십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오피오이드를 공격적으로 마케팅한 인물의 이름이라는 것이다. 새클러 가문이 세운 제약회사 퍼듀파마는 오피오이드로 만든 마약성 진통제 ... ...
복제기술로 다시 태어난 검은발족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이 수정란을 통해 노린과 안토니아가 태어났어요. USFWS는 "노린과 안토니아는 몸에
문제
가 없고 건강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윌라는 다른 검은발족제비보다 3배 많은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었어요. 윌라의 세포를 복제해 태어난 노린과 안토니아는 윌라와 DNA가 거의 일치합니다. 다양한 유전자를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