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29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나노입자들을 구멍 중심으로 집중시켜 100나노미터 크기의 에어로졸로 집속시키는
원리
를 3D 프린팅 기술에 활용했다. 특히 3D 나노 구조물을 한 번에 수천개 이상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3D 나노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면 3D 나노 센서, 집적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3차원 ... ...
규칙적 운동이 비만 막는 과학적 이유 찾았다
연합뉴스
l
2021.03.31
에너지 소모 활성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규칙적인 운동이 비만을 예방하는 생체 작동
원리
를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팀은 지속적인 운동이 식욕을 조절하는 뇌 신경세포에 약한 스트레스를 전달하면서 체내 에너지 소모를 늘려 비만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 ...
[프리미엄 리포트]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03.27
회전하는 선풍기에 탁구공을 던지면 원심력에 의해 밖으로 빠르게 튕기는 것과 같은
원리
다. 하지만 펜로즈 과정에는 큰 문제가 있었다. 이론을 증명하려면 실험이 필요하지만, 실제 블랙홀에서 실험하는 것은 물론, 지구 위에 소형 블랙홀을 만들어 실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사실이었다. ... ...
가짜 바이러스 RNA로 백신 효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통상 바이러스 항원을 체내에 투여해 몸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항체를 생성시키는
원리
로 작동한다. 이 때 항원은 살아있는 완전한 바이러스가 아니라 바이러스 조각이나 바이러스 RNA가 빠진 바이러스 껍질 단백질, 죽은 바이러스다. 그러나 RNA가 빠진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 항원을 체내에 ... ...
통발, 도마뱀 흉내내 물 제어하는 소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식물인 벌레잡이통풀의 표면과 사막 도마뱀이 피부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물을 옮기는
원리
에서 힌트를 얻었다. 모세관 현상은 물처럼 응집력이 큰 액체가 관을 타고 올라가는 현상이다. 벌레잡이통풀 표면의 관 구조는 곤충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 쪽으로 물을 흐르게 하고 사막 ... ...
다리 8개 달린 물곰 100마리가 우주로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차폐막을 펼쳐 인공 일식을 만들면 티몬이 품바 너머로 나타나는 코로나를 관측하는
원리
다. 두 위성이 이름을 가져온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이온킹’ 속 미어캣과 멧돼지 캐릭터가 하는 행동과 비슷하다. 작은 위성 2기를 활용하면 거대한 우주망원경을 활용하는 것보다 초점 거리를 훨씬 ... ...
2차원 반도체 소재 결함 없앴다…단결정 대면적 합성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8
단결정 박막 합성이 가능함을 보여줬다. 이영희 연구단장은 "단결정 합성의 핵심
원리
를 규명함으로써 2차원 소재 상용화의 초석을 놓았다"며 "고품질 2차원 반도체의 첨단소자 분야 응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 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 ...
올해 아벨상에 수학과 컴퓨터 과학 결합한 로바스·위그더슨
2021.03.18
벡터로 이뤄진 격자를 현실적인 시간 내에 크기가 가능한 짧은 벡터의 합으로 나타내는
원리
다. 이를 이용하면 특정 암호 시스템이 안전한지 파악할 수 있고 양자 컴퓨터로 깰 수 없는 암호 체계인 격자 기반의 동형 암호를 만들 수 있다. 격자 기반 동형 암호는 양자 컴퓨터로도 풀 수 없고 정보를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된 와인잔에 고유 진동수와 같은 초음파를 쏘았을 때 떨리다가 깨지는 현상도 같은
원리
다. ‘풍진동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거론되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1940년 11월7일 미국 서부 워싱턴주 타코마 해협에서 벌어진 ‘타코마 다리 붕괴사건’이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이용해 코로나19를 ... ...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03.16
분 뒤부터 다시 뭉쳐 450분 뒤에는 구 모양을 이뤘다. 연구팀은 검은벌레가 군집을 이루는
원리
를 로봇에 적용했다. 로봇의 두 팔이 광감지기에 반응하도록 한 뒤, 각 팔에 망사를 씌우고 갈고리처럼 생긴 핀 네 개를 달았다. 갈고리 핀은 두 로봇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수조에 캘리포니아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