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포"(으)로 총 1,9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2020.04.21
- 중간엽 줄기세포를 가동시켜 손상 조직 치유를 촉진시키는 기전을 규명했다. 자가피부세포치료제 ‘케라힐’,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카티라이프’ 등 2건의 기술을 실용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논문 185건, 특허등록 42건, 기술 상용화 2건 등을 이뤄냈다. 대통령 표창을 받은 이종호 KIST ... ...
- 봄에 춘곤증 겪는 이유 밝혀졌다동아사이언스 l2020.04.21
- 가바 사이의 시냅스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사이에 신호가 전달되는 구조적 장소를 의미한다. 임 교수는 “춘곤증이나 여름철 열대야 현상에 따른 수면형태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로 인한 수면장애를 해소할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2020.04.21
- 감소했다. 아울러 골수계인 단핵구와 호산구, 호염구의 수도 줄었다. 그런데 유독 늘어난 세포가 있으니 바로 호중구다. 차오 교수는 ‘호중구 대 림프구의 비율(NLR)’이 코로나19 중증도와 예후를 알려줄 유용한 지표라고 주장하는 중국 우한대 인민병원 연구자들의 논문을 인용했다. 지난 3월 12일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공기로 전염될 수 있을까2020.04.21
- 2, 메르스 바이러스 그리고 인플루엔자와 같은 급성감염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서 재빨리 증식하고, 숙주의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는 2주 이전에 탈출해서 또 다른 숙주를 감염시키면서 살아가는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다. 유증상자나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는 사람에 대한 2주 격리는 이런 과학적 ... ...
- "위중한 코로나19 증상, 백혈구 과잉 활성화가 원인일 수도"연합뉴스 l2020.04.20
- 경화증, 대동맥류, 미세혈전증 등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호중구 세포외 트랩(NETs)이 처음 발견된 건 2004년이다. 하지만 지금까진 다른 질병과 관련된 작용에만 연구가 집중돼, 과학자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진 않았다. 네트워크 컨소시엄이 코로나19에 주목한 건, 과도한 NETs ... ...
- 美 뎅기열 프로젝트 이끄는 韓과학자 코로나19 항체백신 부작용 검증 동아사이언스 l2020.04.20
- 개발할 때 주의할 사항은 ADE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우선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침투할 때 이용하는 돌기 단백질 끝에 붙은 수용체 결합부위(RBD)를 인공적으로 만든 후 쥐에게 주사해 항체를 만들었다.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주입하자 RBD 항체는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이를 ... ...
- 생활방역 위해 '항체검사' 필요할까동아사이언스 l2020.04.20
- 구성 단백질의 특정 부위(이를 항원이라고 한다)와 결합해 활동을 방해하거나, 면역세포가 접근해 파괴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19의 경우 대략 감염 일주일쯤 뒤에 항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의 항체는 5가지가 있지만, 초기에는 보통 이뮤노글로불린M(IgM)이라는 항체가 ... ...
- 10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금지' 찬반 논란과학동아 l2020.04.18
- 생체와 유사한 인공장기인 오가노이드(organoid)도 개발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사람 세포를 인공적으로 배양해 장기를 만든다고 하는데요. 아직 실제 장기처럼 정교하게 만들지는 못하고 심장이나 뇌 등 고형 장기를 수 cm까지 배양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을 시험하는 데 ... ...
- "신종 코로나 '사이토카인 폭풍' 막는 인공 단백질 개발"연합뉴스 l2020.04.17
- 동물 시험을 거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사이토카인 폭풍을 겪은 인간의 세포에 테스트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연구팀은 "아직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전 임상시험과 인간 임상 연구가 남아 있다"라면서 "하지만 사이토카인 폭풍과 관련된 바이러스 질환의 임상 적용에 기여하리라는 확신을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결국은 면역이다 (하)2020.04.17
- 결합할 때 사용하는 ACE2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세포와 더 쉽게 결합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Fang, Karakiulakis & Roth., 2020), 이에 WHO는 이부프로펜의 사용 금지를 권고했다. 하지만 이부프로펜 투여와 코로나-19 증상 악화 사이의 연광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