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15,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토마토 국내에서 첫 재배 실험
과학동아
l
199308
인식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한
국우주소년단에서는 각 학교에 토마토씨앗
한
세트와 더불어 실험재배 지침서를 함께 배포할 예정인데, 여기에는 발아율 성장측정 개화 열매생산 등을 어떤 방식으로 관찰해야 하는지, 기록은 어떻게 해야하는 지가 자세히 밝혀져 있다. 우주소년단에서는 9 ... ...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08
때까지 달이 뜨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게 될 경우 이 혜성을 관측할 수 있는 나라는
한
국 일본 중국 호주 정도에 불과할 것이다. 물론 허블우주망원경은 언제라도 관측이 가능하다.내년은 천문대가 20년이 되는 해다. 그리고 보현산에 1.8m 망원경이 설치돼 7월 경에는 시험관측도 가능할 것으로 ... ...
개항
한
세기─시대별로 본
한
반도의 대표적 귀화식물들
과학동아
l
199308
있으며 나래가막사리 애기범부채 등도 새로 들어와 있다.귀화식물의 종수는 도시화의
한
지표가 된다는 것을 필자 등이 80년대에 밝힌 바 있다. 당시 1백10여종이던 것이 불과 10여년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지금은 1백50여종으로 늘어났고, 자꾸 낯선 얼굴이 산견되는 형편이다 ... ...
코의 감도는 훈련에 의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199308
결정이 냄새자극에 의존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취각수용세포의 냄새자극에 의
한
가소성은 신경계의 발생과 분화에 있어서 유전자발현의 컨트롤을 연구할 때 좋은 모델이 될 듯하다 ... ...
1.
한
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08
대표적인 세리프체는 타임즈체라고 할 수 있다. 세리프가 없는 서체는 산세리프체라고
한
다. 산(sans)이란 말은 불란서어로서 '~이 없는' 이라는 뜻이다. 산세리프체는 가독성은 떨어지지만 매우 힘찬 느낌을 주므로 제목 등에 쓰인다 ... ...
호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08
세대가 그들의 조상을 재창조해낼 수 있도록 인간의 DNA를 인공호박에 넣는 일에 관
한
것이 될 것이다. 혹 선조들의 DNA를 담은 호박을 장신구로 달고 다니는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Anyone who doesn't know that amber can preserve insects millions of years old has not been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
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08
인간이 만물의 영장일 수 있는 것은 발달된 두뇌의 덕이다. 우리 몸무게의 2%에 불과하지만 인간 심신의 사령탑 역할을 하는 두뇌에 대해 알아보자.인간의 뇌는 매우 특이
한
모양을 하고 있 ... 우울증에 빠져 못을 박는 총으로 양눈 사이를 쏴 자살을 시도
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고
한
다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08
끼칠 긍정성과 부정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이를 감시하는 국제적인 노력 또
한
있어야
한
다"는 것이 서울대 생물학과 홍주봉 박사의 의견이다.그렇지 않을 경우 유전공학은 19세기의 다이너마이트, 20세기의 맨해턴 프로젝트(원자폭탄 개발사업)와 마찬가지로 21세기 인류의 운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 ...
'93 대전 엑스포
과학동아
l
199308
위성지구국으로 연결하고 여기서는 다시 우리나라 금산지구국을 거처 현장과 통신
한
다. 이날의 교신은 전국에 생중계된다.마지막날(8월14일)은 세명의 우주인들이 일반 관람객과 단원들에게 미르 앰배서더 우주탐험관을 재차 상세히 소개할 예정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08
쯤부터 위도가 낮은 쪽에 나타난다.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쌀알을 뿌려 놓은 듯
한
나비 모양을 이룬다.(과학동아 93년 7월호 참조)흑점의 관측은 연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가 여러가지 있어야 거기서 새로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고, 그 변해가는 모양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
이전
1230
1231
1232
1233
1234
1235
1236
1237
1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