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고 보면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조금만 배우면 게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든 게임을 내 스마트폰에 넣어 친구들에게 자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먼저 게임카페 1기의 이야기부터 할게요. 7월부터 진행된 수학동아 게임카페 1기 활동이 지난 8월 15일 세 번째 수업을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내 친구, 가족, 함께 일한 식구들! 이젠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이에요.”지난 5월 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새벽 1시 20분쯤 메신저호가 자신의 트위터에 작별 인사를 남겼어요. 그리고 3시간 뒤인 새벽 4시 반쯤 수성에 충돌해서 사라졌답니다. 이 충돌로 수성에는 지름 16m 크기의 큰 구멍이 생겼어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설거지를 할 때, 세수를 할 때에도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깨끗한 수돗물을 쓸 수 있어요. 목마를 땐 수돗물을 생수처럼 마실 수도 있지요. 그렇다면 이 수돗물은 어떤 과정을 통해 깨끗한 물로 변신하는 걸까요? 기자단의 김도은, 김용빈 친구가 수돗물이 만들어지는 현장을 직접 취재하기 위해 K ... ...
- [수학뉴스]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땅에서 풀이 자라나면 얼룩말이 뜯어 먹습니다. 얼룩말은 육식동물인 사자가 잡아먹습니다. 사자가 죽으면 미생물이 사체를 분해해 땅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다시 땅에서 풀이 자라나지요. 이런 자연의 법칙을 한 눈에 볼 수 있을까요?미국 프린스턴대 생태진화생물학과 앤드류 돕슨 교수팀 ... ...
- [수학뉴스] 3차원 모형으로 밝힌 돌연변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유전자 돌연변이가 모두 악성 종양을 만드는 건 아니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종양과 유전자의 관계가 속 시원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 수학과 마틴 노박 교수팀이 종양 구조를 3차원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유전적인 변화까지 설명할 수 ... ...
- [수학뉴스] 순간이동을 하는 웜홀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자치대 물리학과 연구팀이 자성을 이용한 웜홀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실험실 안에서 나타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하네요. 이 웜홀은 한 장소에서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고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고 해요. 순간이동을 한다는 말인데,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 얼마 전 실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드론의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드론이라고 하면 프로펠러 4개가 달린 모양의 ‘쿼드콥터’를 떠올리기 쉽습니다. 드론 중에서도 쿼드콥터가 유독 인기를 끄는 이유는 프로펠러 4개만 조절해 제자리 돌기, 한쪽으로 기울이기, 뒤집기 등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죠. 모두 수많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기능도 바로 이 하룻밤 사이에 나왔다.우리나라에서는 구글코리아가 2011년 12월 처음 ‘구글 개발자 해카톤’을 열었다. 1등은 아이폰의 인공지능 자동응답 서비스 ‘시리(Siri)’처럼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배우기도 하는 SW인 ‘고리(Gori)’가 차지했다. 해카톤이 치러진 단 9시간 만에 한국판 시리가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피자를 인쇄했다. 프린터 노즐을 달팽이 모양으로 돌리면서 밀가루 반죽을 편평하고 둥글게 쌓는다. 그 위에 같은 방법으로 토마토 소스를 얹고, 치즈를 뿌린 다음 굽는다.3차원으로 인쇄하는 동시에 반죽을 구워 요리를 완성하는 방법은 없을까? 영국 런던왕립대 이론물리학과 팀 에반스 교수팀은 ... ...
- 칼레이도 사이클로 만드는 정육면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뤄진 고리’란 뜻이다. 사면체 여러 개가 연결돼 만들어진 이 입체도형은 빙글빙글 돌릴 때마다 다른 면을 볼 수 있어 ‘변환 입체도형’이라고도 부른다.독일의 발명가이자 수학자인 폴 샤츠는 정육면체 모양으로 접히는 칼레이도 사이클을 발견했다. 자신의 이름을 따서 ‘샤츠 큐브’라고 ... ...
이전1232123312341235123612371238123912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