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2,94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1
지하수가 표면으로 분출한 뒤 경사면을 타고 400~500m 흐르다가 증발되거나 스며들었다는
얘기
다.증거는 또 있다. 화성의 테라 시레눔(Tera Sirenum) 지역에서 2001년 12월 찍은 사진에는 없던 협곡이 2005년 4월 촬영한 사진에는 나타났다.화성 표면은 온도가 영하 60℃고 기압은 지구 대기압의 100분의 1로 ... ...
당신 얼굴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01
어린시절’ ‘넓은 미간=따스하고 개방적인 성격’ 이라는 ‘공식’을 만들었다. 이들의
얘기
를 믿어도 될까. 과학으로 관상 보는 법이 여기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당신 얼굴의 진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3. 근육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01
즉 특정한 얼굴 움직임을 만들어내는데 관여하는 ‘표정 유전자’가 있을 수 있다는
얘기
다.쌍둥이 실험도 ‘표정 유전자’의 존재를 뒷받침한다. 유전정보가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는 이란성 쌍둥이에 비해 웃음이나 공포에 대한 얼굴 반응에서 훨씬 유사한 표정을 나타낸다.물론 표정이 ... ...
연상녀를 좋아하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0701
연상녀가 인기다. 포근하고 이해심이 많아 엄마 같은 연상의 여인에게 끌린다는
얘기
다. 그런데 수컷 침팬지 사이에서는 이미 연상 암컷이 인기가 높았다.미국 보스턴대 마틴 뮐러 박사팀은 수컷 침팬지가 젊은 암컷보다 나이 많은 암컷을 좋아한다고 11월 21일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서 밝혔다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대칭성은 매력을 판단할 때 중요한 요소다. 얼굴이 대칭일수록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얘기
다.지난해 9월 영국 리버풀대 안소니 리틀 교수팀은 실험 대상자에게 원래 얼굴 사진과 대칭이 되도록 수정한 사진으로 이뤄진 이미지 30쌍을 보여줬다. 그리고 어떤 얼굴이 매력적인지 선택하도록 한 다음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01
겪어야 한다’고 단언한다. 가만히 누워 입 벌리고 있으면 감 떨어지는 게 축복이 아니란
얘기
다.그는 정말 일 복 많은 과학자다. 1970년대에 국방연구소에서 무전기를 개발해 박정희 대통령의 눈에 띄어 국방통신기술 자립에 앞장섰고, 1980년대에는 국산 전자교환기(TDX) 개발을 주도했으며, 199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01
말한다. 심장이나 폐처럼 필요한 장기를 줄기세포로 직접 만드는 일은 꿈같은
얘기
다. 그러나 손상된 조직의 세포를 복구하는 줄기세포치료에는 희망을 걸어 볼 수 있다.줄기세포 운명 결정짓는 조건을 찾아라!그렇다면 줄기세포의 운명을 쥐고 흔드는 마스터유전자는 과연 존재하는가. 이화여대 ... ...
과학자와 인문학자의 모임 eum이음
과학동아
l
200701
격주로 모임을 가질 때면 대화가 끊이질 않는다. 한쪽에서 최 교수가 진화경제학을
얘기
하며 인간 개인의 본성을 따지고 들어가면 다른 한쪽에서는 김 교수가 역사학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끄집어낸다.이음의 첫 결과물은 1월 말경 나온다.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내용을 엮어 책으로 출판한다.후속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연료값은 상상을 초월해 부자들만 가능한 일. 하지만 태양열로 움직이는 요트라면
얘기
가 다르다.‘ 선 스트라이크’는 지붕의 집광판으로 태양열을 받아 움직이는 신개념요트다. 심사평이렇게‘2006년을 빛낸 과학발명품’을 뽑아 놓고 보니 감회가 새롭구먼. 내가 전구를 발명한 게 불과 130년 전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똑똑한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이 질문에 오준호 교수는“아직은 가능성이 낮은
얘기
”라고 말한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로봇은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 가운데 원하는 정보를 골라내는 속도도 빨라질 것이다. 하지만 로봇의 지능이 인간의 뇌처럼 자율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