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발합니다! 스마트폰은 유죄 ?무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어린이들에게 얼마나 악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으로 검증한다. 전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생중계 재판이 열리는데…. 첫 번째 쟁점 스마트폰은 어린이 건강을 해치는가?오늘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어린이과학동아’ 배심원단 여러분 감사합니다. 저는 이번 스마트폰 고발 사건을 맡은 ... ...
세라피아에서는 도자시도 융합스타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더 유명해졌지. 먼저 물레 위 점토를 손으로 잘 감싸면서 위로 올려 줘야 해. 그런 다음
가운데
를 양쪽 엄지손톱으로 지그시 누르면 구멍이 만들어지지. 그런 다음 안쪽에 손을 넣어 공간을 점차 넓혀 주면 그릇 모양이 만들어지지.토락교실 ➌ 초벌도자에 페인팅하기초벌도자에 자신의 생각과 ... ...
세계 첫 유전자 백과사전, 한국인이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아직도 그 기능을 모르고 있거든요. 이 책에는 사람이 지금까지 연구해 알아낸 유전자들
가운데
중요한 것 4000개를 먼저 간추려 정리해 놓았어요. 앞으로 더 많은 유전자를 찾아내 포함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답니다.이 백과사전은 어떻게 사용하나요?생명과학이나 의학, 약학처럼 유전자와 관련 ... ...
[과학뉴스] 태풍이 찾은 1만 5000년 전 사람발자국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8호
전 무시무시한 태풍 볼라벤이 우리나라를 훑고 지나갔 어요.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가운데
다섯 손가락 안에 들만큼 막강했는데요. 볼라벤이 제주도를 휩쓸고 지나간 뒤에, 약 1만 5000년 전에 찍힌 사람발자국 화석을 발견했어요.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와 대정읍 상모리 일대의 ... ...
큐리오시티가 보낸 첫 번째 컬러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이 사진은 큐리오시티가 내비게이션 카메라로 찍은 사진 130장을 이어붙인 것의
가운데
부분이지요. 사진에는 붉은 색을 띠는 자갈밭이 분화구 끝까지 펼쳐져 있어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화성이 지구에 있는 모하비 사막(미국)과 많이 닮았다며 놀라워하고 있답니다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슐리만은 그 위에 있던 일곱 개 층을파헤쳐 버렸어요. 그런데 슐리만이 없애버린 층들
가운데
트로이 도시유적이 있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답니다.무령왕릉 훼손 사건1971년, 충남 공주에서 배수로 공사를 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에요. 1000년이 넘게 도굴 ... ...
웬록과 맨드빌의 과학으로 따는 금메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몸이 쉽게 뒤집히기 때문이죠. 한 손가락으로 책을 들어올릴 때 무게중심이 있는 책
가운데
를 손가락으로 받치면 잘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예요. 무게중심이 아닌 부위를 들면 책이 떨어져 버리는 것처럼, 몸의 다른 부분을 붙잡으면 그만큼 뒤집기 어렵지요. 그래서 수비하는 선수는 바닥에 찰싹 ... ...
귀에서 삐~ 소리가 난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그래서 이명을 겪으면 꼭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해요. 하지만 실험에 참가한 어린이
가운데
이명을 겪고 병원에 간 어린이는 2.5%밖에 되지 않았어요. 연구팀은 이명이 자주 들리면 수면장애나 학습장애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답니다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잠자리는 어떤 동물이니?잠자리는 몸길이가 15㎝ 정도로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곤충
가운데
큰 편에 속해요. 막대기처럼 가늘고 긴 몸에 그물처럼 생긴 날개가 두 쌍 달려 있어요. 세모난 머리에 달린 큰 눈과 기다란 배(꼬리가 아니에요)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87종, 세계적으로 5000여 종이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가지고 색다르게 보는 연습을 해 보라”고 한다. 호기심을 가지고 새로운 시도를 해 보는
가운데
자신만의 개성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작가가 어린아이 같은 순수함으로 나비를 바라 본 사진전 ‘꿈의 대화’는 6월 20일부터 인사동 경인미술관에서 다시 만날 수 있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