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접했을 때 무의식 중 어떤 생각을 하는지 뇌파를 읽어내는 기술을 개발해 매출 3000억 원 규모의 커다란 회사로 성장했다. 마우스와 키보드 없이 생각만으로 ‘디아블로3’을 즐길 수 있는 날도 올지 모른다. 임 교수는 “각각의 목적에 맞춰 여러 방법으로 생각을 읽어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고 ...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아직 수수께끼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남극 심층 해류가 표층으로 올라오면 굉장한 규모의 어장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상상하기 어려운 양의 미네랄이나 영양염류를 함께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소녀같은 심술을 부리는 라니냐와 남극 심층 해류의 관계를 과연 누가 풀어줄까. ▼관련기사를 계속 ...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베이징, 시카고, 런던, 마드리드, 뉴욕, 서울, 파리, 도쿄 등 역 수가 100개가 넘는 대규모 지하철 노선도의 기하학적 구조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영국왕립학회보 인터페이스’ 5월 16일자에 발표했다.현재 인구가 1000만 명이 넘는 거대도시(메가시티) 가운데 지하철을 건설하지 ...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막대한 압력을 버텨내지 못하고 가라앉는다. 사라지는 지하수의 양이 많을수록 싱크홀의 규모도 커진다.[➊ 강원도 평창군 고마루에 있는 싱크홀. 석회암이 지하수에 녹아내리면서 만들어졌다.][➋ 멕시코에 있는 제비동굴. 세계에서 가장 깊은 수직동굴이다. 간혹 동굴에서 제비처럼 생긴 새들이 ... ...
- 전기정보공학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최신기술들이 집약돼 있다. 반도체와 같은 소규모에서 국가 전력에 이르는 대규모 기술까지 전기정보공학은 고루 쓰인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항상 전기정보공학의 혜택을 받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전기정보공학부는 국내외 공과대학 대부분에 있다. 외국 대학으로는 특히 미국에 있는 매사추세츠 ...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수명도 짧다)의 수는 태양과 같이 가벼운 별들의 수보다 훨씬 적지만, 그래도 우주적인 규모로 봤을 때 흔하게 존재한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에도 별 질량 블랙홀이 수천 개 있는 것으로 천문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그런데 이보다 훨씬 더 무거운 ‘거대질량 블랙홀’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현대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시나리오를 누군가와 논의하고 있었다. 사건 파일 3 막으려는 수학 vs 뚫으려는 수학대규모 금융 범죄 계획이 발견되다니, 수학자를 납치한 이유는 분명 암호 때문일 거예요. 좀 더 알아봐야겠어요.뭐? 그게 수학자랑 무슨 상관이야?보안 시스템 암호를 설정하고 푸는 데 수학이 꼭 필요하거든요. ...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짤 때는 이동거리와 팀당 상대 경기수 등의 까다로운 제약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리그의 규모가 커질수록 어려워지는데,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주어진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답을 구할 수 있다. 실제론 이밖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일정을 짠다.효율적인 휴대전화 키패드 설계휴대전화에서 문자를 ... ...
- 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즐기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놓치지 마세요. 여수 신항 박람회장 앞바다에는 방파제를 육지와 연결해 만든 지름 35m 규모의 O형 구조물인 ‘빅오’가 있어요. 이곳에서 매일밤 홀로그램과 레이저, 그래픽 등 첨단 IT가 결합한 환상의 분수쇼가 펼쳐진답니다. 참! 자유자재로 물속에 잠겼다 떠올랐다하는 해상무대 ‘이어도’에서 ...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아쉬움을 표했다. 현재 일본과 영토분쟁이 있는 독도 일대에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대규모로 매장되어 있다. 이를 생산하기 위한 우리 측 연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일본의 견제가 심한 편이다.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동해에서 시험생산을 시도하는 게 목표다. 탐사와 시추를 주로 하는 1, 2단계를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