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억"(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단번에 뉴턴으로 결정했어요. 그동안 어과동의 ‘과학자 VS 과학자’를 보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이었거든요. 과학자이면서 연금술사였던 뉴턴에 친구들도 관심을 가졌고, 많은 공부와 자료 조사로 쓴 대본으로 당당히 은상을 받았지요. 모두 어과동 덕분이에요!캬~, 어과동에 대한 특별한 ... ...
- 내가 어떤 인재인지 알고 싶다고? 그럼 지니움으로 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이 들어 있더라고. 예를 들어 지각과 관련된 청각적 주의력과 단기기억 향상 훈련 프로그램은 사고력 수업에, 언어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창의력 수업에 포함돼 있었지.지니움 친구들의 비밀을 알아내는 건 쉽지 않았어. 그래도 이 친구들이 인지발달검사와 진로적성검사, ... ...
- 뇌과학이 알려 주는 공부비법 5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나오고 있어. 즉 우리 뇌는 잠을 잘 때 새롭게 얻은 정보를 정리하고 통합해서 장기기억으로 처리한다는 것이지.만약 잠을 충분히 못자면 어떻게 되냐고? 우리 뇌가 정보를 정리할 시간을 충분히 얻지 못해서 새롭게 배운 정보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아져. 서유헌 원장은 “잘 때 뇌에 도움을 주는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넣어 면역계가 스스로 이겨내게 하면, 다음에 실제로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면역계가 기억하고 있다가 쉽게 물리칠 수 있다.하지만 바이러스를 몸속에 넣지 않고도 예방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세포 안으로 들어가 세포가 가진 효소를 이용해 유전물질을 복제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바이러스가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2) 내린 시간, 3) 타고 내린 칸 번호. 지하철은 일정한 시간마다 운행되기 때문에 1)이 기억나지 않으면 내린 역만 알아도 된다. 물건이 실린 열차가 출발한 직후라면 해당 운영기관 상담실에 연락해 위의 세 가지를 알려 주고, 나중에 깨달았다면 그 열차가 도착하는 마지막 역에 연락할 것. 시간이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더 잘 찾고, 쳇바퀴에서 더 오래 달렸다. 연구팀은 “젊은 피를 받은 늙은 쥐는 뇌의 해마(기억을 관장하는 부위)에서 뉴런 연결이 다시 발달하기 시작했다”며 “젊은 피가 노화한 해마의 구조와 기능 등을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세계에서 가장 많은 혈액형은 ‘O형’란트슈타이너의 ABO식 ... ...
- 알록달록 아름다운 머릿속 실타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뇌에서는 거대한 망으로 이뤄진 신경세포들이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생각을 하거나 기억을 저장한답니다. 연구팀은 뇌세포에 색깔을 입혀 관찰하면 일반인의 뇌와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뇌가 어떻게 다른지도 비교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만들 때 고려하는 조건이 ‘빠른 속도를 내면서도 안전하게 달리는 차’라는 사실, 모두 기억하죠? 레이싱에서 빠른 속도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안전이에요. 15~25대의 차가 한 서킷 안에서 약 시속200㎞까지 속도를 내며 승부를 겨루는데 안전을 챙기는 건 당연한 일이지요.레이서의 안전을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7인조 인기 아이돌 그룹 ‘인피니트’의 앨범 자켓을 보면 ∞ 모양이 크게 그려져 있다. 멋진 로고라고만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무한’을 뜻하는 수 ... 칸토어의 말처럼,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할 때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길 바라며 을 마친다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탐사선, 아예 대기권을 벗어나보지도 못하고 발사대에서 산화한 탐사선까지…, 우리가 기억하는 ‘성공의 역사’ 뒷페이지에는 주목받지 못하고 조용히 사그라진 탐사선들이 빼곡하다.이런 실패의 역사가 있었기에 성공도 가능했다. 1958년 시작된 달 탐사는 1959년 ‘루나 2호’가 달 표면에 처음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