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두의 N-S 방정식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답이 있는지조차 아직 증명되지 않았는데 N-S 방정식은 이미 수많은 분야에서 매일 쓰이고 있다. 풀이법을 모르는데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걸까? 난이도만큼이나 놀라운 N-S 방정식의 생활 속 쓰임에 대해 묻기 위해 잠깐 수학자를 바다 세계에 모셔왔다. “정확한 함수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 ...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영화 속 상상? 이건 실화다! 때로는 현실이 드라마보다 더 극적일 때가 있다.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영화의 단골 소재로 쓰였다. 이들 영화 중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2018년 개봉한 ‘퍼스트맨’이 있다. 퍼스트맨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997년 처음 개봉한 영화 ‘맨 인 블랙’은 끊임없이 웃음을 터트리게 하는 기상천외한 외계인 캐릭터로 인기를 끌었다. 이들 외계인이 지구인의 모습으로 위장한 채 인간과 섞여 지구에 살고 있다는 설정도 흥행 포인트였다. 무엇보다도 지구를 공격하는 막강한 힘을 가진 외계인이 아니라 무섭지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누군가 사라진 사건 현장에서 과학수사는 더욱 신중해진다. 단순 실종인지 강력 사건인지 알 수 없을뿐더러, 만약 범행을 은폐할 목적으로 깨끗하게 정리된 현장이라면 더욱 어려워진다. 마땅한 증거가 눈에 띄지 않는 현장에서 사라진 이의 상태를 파악하고 보이지 않는 시체를 검시해야 하기 때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가 개발된 1940년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오늘날의 전자기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손 안의 컴퓨터’로 불리는 스마트폰은 2007년 처음 등장한 뒤 일상의 모든 정보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이제는 또 다른 변화가 우리를 기다리 ...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학에 재능 있는 학생을 발굴하고 수학자가 좋은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힘쓰며, 세계에 우리나라 수학을 알리는 기관이 있습니다. 바로 ‘대한수학회’인데요, 수학 실력을 키우고 수학 교육을 제대로 해야 나라에 미래가 있다고 말하는 금종해 대한수학회 회장을 만났습니다. 1. 대한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보드게임에 수학의 원리가 숨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보드게임에서 이기려면 상대방과 협력해 점수를 얻을 수도 있고, 예측하지 못한 순간 뒤통수를 치고 상대방의 점수를 뺏을 수도 있어요. 그런데 협력과 배신 중, 과연 무엇이 더 좋은 필승 전략일까요?1980년대,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정치학자 ...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필자는 화학자다. 화학자들은 물질을 원자 수준에서 들여다보려는 습성이 있다. 이런 필자에게 생물은 너무나 어려운 대상이었다. 세포 하나가 수천 개의 거대한 분자로 구성돼 있고, 그 구성 방식도 이해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런 세포들이 수조 개 모여 사람이라는 하나의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두 번째는 네덜란드에서 수학상담소를 구독하는 닉네임 '미수년'씨가 보낸 사연인데요, 미술과 수학을 사랑하는 미소년이라며 자기소개를 하셨네요. "네덜란드에 유명한 미술 작품이 많잖아요.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훼손되지 않을까 너무 걱정돼요." 맞습니다.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최근 많은 연구 결과들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현재의 생명체와는 어느 정도 달랐을 것이라는, 즉 다른 염기쌍 시스템을 가졌을 것이라는 가설에 더욱 무게를 실어 준다. 그런데 이런 가설은 또 다른 질문을 낳는다. 과거의 염기쌍은 원시 지구에서 생명체가 생존하는 데 어떤 이점을 줬을까. 왜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